대학가에 등록금 환급 요구가 거세다. 강의실 수업을 못하니 등록금의 일부라도 돌려달라는 것이다. 투표일을 코앞에 둔 정치권도 등록금 반환 요구에 가세하고 있다. 총선 이슈로 급부상하는 분위기다. 대학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수업을 온라인 강의로 대체하면서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온라인 강의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입학식도 제대로 갖지 못한 신입생들은 캠퍼스를 밟아보지도 못한 채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 강의 수준은 등록금 환급 요구를 부추긴다. 준비부족으로 인터넷이 중간에 끊기는가 하면 부실강의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전대넷)의 '수업권 침해 사례 조사' 결과를 보면 '온라인 강의 질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의 64.5%나 된다. '만족 한다'는 응답자는 6.8%에 불과하다. 대학생 626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다. 물론 온라인 강의라고 질이 낮은 건 아닐 터다. 온라인 강의가 더 어렵다는 교수들도 많다. 성실히 강의를 준비하고 열정적으로 수업하는 교수들은 억울한 측면이 있을 거다.

온라인 강의를 받아야 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등록금 환급 요구는 당위성이 충분히 있다고 본다. 실험·실습이 동반된 수업은 중단된 상태다. 도서관과 같은 대학 부설시설도 이용할 수가 없다. 그럼에도 정상적인 등교를 할 때와 똑같이 등록금을 받는다는 것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대학의 입장을 전혀 모르는 바 아니다. 대학들은 온라인 강의에도 비용이 들어갈뿐더러 등록금 반환 요구는 자율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학생들은 아르바이트 자리마저 막혀 형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한 학기 대학 등록금은 국립대가 평균 208만원, 사립대는 평균 373만원에 달한다. 고통분담 차원에서 등록금의 일부라도 환급해주는 게 옳다. 학생들의 요구가 비등한데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건 비교육적이다. 교육부, 대학,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면 답안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정치권은 등록금 반환 요구를 표와 연계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