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이나 미룬 초·중·고 개학이 4월 9일로 한 번 더 연기됐다. 사상 초유의 일이다. 코로나19로부터 학생 안전성 확보가 담보되지 않은 탓이다. 코로나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 섣불리 학교 문을 열 수 없다보니 나온 고육지책이다. 개학하더라도 일정 기간은 온라인 수업형태가 불가피하다. 등교 개학은 집단감염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어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어제 정세균 국무총리는 온라인 형태 개학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입 일정과 수업 일수 등을 감안할 때 더 이상 개학연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문제는 일주일 남짓 남은 기간에 온라인 수업준비가 가능하냐다. 수업시간표 작성부터 동영상 제작이나 화상 수업 준비가 원활할지 의문이다. 교사든 학생이든 익숙지 않은 방식에 현장에선 벌써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면 수업이 아니다 보니 학생 통제방법이나 평가·시험방식도 가이드라인이 나와야 한다.

컴퓨터·노트북·스마트폰이 없는 소외계층에 대한 대책도 절실하다. 인터넷 환경 격차로 인해 온라인 교육에서 배제된다면 또 다른 차별문제를 부를 수 있다. 전국에는 인터넷 수강 환경을 못 갖춘 13만 명에 달하는 저소득·농어촌지역 학생들이 있다. 이들에게 기기대여 등 정부지원이 없다면 원격수업은 그림의 떡이다. 초등 저학년학생도 보호자 지도가 있어야 온라인 학습관리가 가능해 맞벌이 부부나 조손 가정은 걱정이 태산이다.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점검과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018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고교생 중 원격수업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0.3%에 불과하다. 정보통신 강국답지 않게 원격수업을 진행해본 경험이 극히 드문 것이 현실이다. 전국 1400만 가구에 100만원씩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한 마당에 소외계층 교육 지원에 인색하다면 말이 안 된다. 시간이 촉박하지만 온라인 개학이 졸속이라는 지적이 안 나오도록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