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택열 대전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

대전 발전은 대전역과 함께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5년 잘 알려지지 않은 한밭 시골 마을에 경부선 대전역이 들어섰고, 1914년 이곳을 분기점으로 호남선이 개통됐다.

이후 대전역에서 구 충남도청사에 이르는 중앙로는 대전 사람들뿐만 아닌 인근 지역에서도 찾아오는 시끌벅적한 대전의 중심가로 발전했다.

하지만 1990년대 둔산 개발이 시작되면서 시청, 경찰청, 법원 등 공공기관 이전으로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원도심은 급격한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시작됐고, 둔산을 중심으로 한 신도심 개발에 밀려 발전 격차는 점차 심화됐다.

그동안 대전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은행동 스카이로드 등의 수많은 사업에 많은 재정을 투자해왔지만 그 효과가 다소 미비하게 느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전의 상징이었던 대전역 주변은 아직도 1960~1970년대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많은 젊은 청년들이 삶의 터전을 떠나 지금은 어르신들만이 동네를 쓸쓸히 지키고 있다.

대전의 태동이 대전역이라는 사실이 요즘 젊은이들에게 잊히지 않을까 생각하면 마음이 씁쓸해진다.

이에 시는 동·서간 심각한 불균형 해소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2006년부터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을 구상해왔고 그에 따른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 대전역 복합 2구역은 2008년,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민자유치를 시도했으나 경기불황과 사업성 부족으로 개발을 담당할 주인을 찾지 못했다.

또 2018년 3차 공모엔 기본적으로 도심에 사람들이 정주 할 수 있는 여건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 전체 상업시설 면적 중 25%를 주거용도로 전환했지만 이마저도 사업자들에게 사업성을 담보하지 못하면서 공모 실패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하지만 사업을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대전시는 지난 1년간 한국철도(이하 코레일)과 함께 건설사와 유통업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민자유치 성공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상해왔다.

우선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사업방안을 강구해 주거비율과 용적률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사업자의 기반시설에 대한 비용부담을 완화 등 코레일에서는 상업복합부지의 사용을 임대 또는 매각(70%이상) 등으로 민간사업자 참여가 용이하도록 공모여건을 대폭 개선해 마련했다.

일정 부분의 주거용도 확대는 사람들의 정주 여건을 개선해 마련하는 것으로 공동화된 도시를 사람들로 북적이게 하고 활발한 경제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만드는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대전시민의 문화 수요 충족을 위한 문화시설 설치와 컨벤션, 호텔 등 MICE산업 관련 시설 도입을 의무와 권장하는 등 대전역세권이 도시 중심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공공성 강화를 위한 기준도 마련했다.

이번 4차 공모를 통해 사업을 확실히 추진할 수 있는 민간사업자를 찾아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코레일과의 협업을 통해 대전역 서광장을 휴식공간으로 복원하는 등 그간 철도로 단절된 동·서 광장을 연결하는 보행녹지축 조성사업 등을 단계적·계획적으로 추진할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대전시와 코레일은 지속적인 상생협력사업을 발굴해 침체된 원도심의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고용창출과 대전의 동·서 균형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역세권 개발 사업은 원도심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어 도시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 최적의 사업인 만큼 그동안 10여년의 사업 구상단계에서 벗어나 하루 빨리 사업이 이뤄져 대전 발전의 새로운 기폭제가 돼 ‘사통팔달의 철도중심 도시 대전’의 옛 명성을 회복하고 시민들의 삶에 활기가 회복되길 소망해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