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선희 대전대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교수

4·15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모든 이슈를 삼켜버린 코로나19로 인해 유권자들이 체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은 물론 대내외적 경제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고, 개학이 늦춰지면서 자녀들의 학습과 생활을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학부모들의 피로도 높아지고 있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로 다양한 여가생활과 회합이 중단되면서 정서적 이완과 충전의 기회는 축소됐다.

코로나19로 일상적 삶이 해체되면서 총선이 사회적 의제로 부상하지 못하는 시점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외신들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언급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응을 높이 평가하며 그 근거로 한국 사회의 투명성, 개방성 등 민주주의 원칙 견지와 성숙한 시민의식을 들고 있다. 특정 도시를 봉쇄하거나 전국 봉쇄령을 내린 중국이나 이탈리아와 달리 한국은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으면서 밀접 접촉자를 추적하고 빠르게 검사하는 방식을 택해 민주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AFP통신). 또 시민들은 대규모 주요 행사를 취소하고 교회 예배는 온라인으로 전환, 확진자가 대규모로 발생한 대구 방문을 자제하는 등 정부의 권고에 자발적으로 따르고 있다고도 전했다(워싱턴포스트).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역동적, 민주적 가치에 충실한 것이라고 전제한 뒤 한국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과 높은 기준이 정부의 대처를 이끌었다고 답했다. 중요한 점은 정부의 대처가 국민들의 요구사항과 기준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이다. 대의민주주의에서 평범한 시민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다. 역대 총선 투표율을 보면 2008년 18대 총선에서 46.1%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19대 54.2%, 20대 58.0% 등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왔다. 공천 파동으로 최악의 투표율 우려를 낳았던 20대 총선에서조차 투표율이 상승해 유권자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빛을 발했다.

투표가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투표하지 않으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일조차 무산되고 만다는 점에서 국가적 재난에 준하는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21대 총선 참여는 국민에게 부여된 사명이다. 코로나19라는 시련 속에서도 우리는 오늘을 살고 내일을 준비해야 하며 그렇기에 코로나19에서 확인된 민주주의 원칙과 성숙한 시민의식은 4·15총선에서도 계속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