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전쟁이 두 달이 지나면서 지역 민생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이맘때면 벚꽃구경 인파로 이동이 많을 계절이건만 좀처럼 집을 나서기가 망설여진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면 왠지 감염병을 먼저 떠올릴 만큼 코로나 불안감이 일상화됐다. 한창 대목이어야 할 여행업계도 개점휴업 상태고 손님들로 북적이던 음식점들도 썰렁하기만 하다. 한마디로 내수 소비심리가 바닥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자영업자를 비롯한 소상공인들이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어제 발표한 3월 대전충남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82.0으로 전월(96.3)보다 14.3p 큰 폭으로 하락했다. 월별 공표를 시작한 2009년 1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라고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9년 1월(73.8), 2월(76.0), 3월(73.9)에 이어 사상 4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현재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엄중함이 반영된 지표다. 소비 급감으로 생산시설 가동이 멈추고 실직이 잇따르면 경제선순환구조가 깨지게 된다. 코로나사태 장기화하면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위기상황이 단기간에 개선될 수 있느냐다. 한국은행 발표 자료를 보면 6개월 후의 예상 생활형편을 나타내는 생활형편전망은 83으로 전월(94)보다 11p 떨어졌다. 그만큼 심리적 충격파가 크다는 뜻이다. 코로나 사태로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매출이 반 토막 난 업소가 80~90%에 달한다고 한다. 민생경제가 침몰하지 않도록 소비활성화 대책이 당장 마련돼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와 의회가 이견 없이 코로나 추경을 편성한 것은 다행이다. 취약계층 긴급생계비 지원이나 소상공인 지원 사업이 신속히 집행돼야 할 것이다.

위기에 처한 가구가 지원 대상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온라인 신청도 받는다지만 디지털기기 이용에 익숙지 않은 경우도 많다. 절차가 복잡하다고 포기하는 사례도 없어야겠다. 생계비 지원방식도 지역화폐로 지급된다면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골목·재래상권이 살아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