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유권자 선거교육에 보다 신경서야 할 때

선거연령 하향으로 고교 3학년 상당수가 4.15총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됐지만 학생 유권자 선거교육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양이다. 코로나19가 휴교사태를 불러오면서 계획했던 학생 대상 선거교육이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일선 학교의 개학이 3차례 연기되는 바람에 교실에서의 대면교육은 전면 취소된 상태다. 불가피하게 영상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교육을 추진한다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 학생들이 제대로 된 유권자 교육을 받지 못한 채 투표장으로 향하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

이번 총선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을 갖게 되는 만 18세 인구는 53만여명으로 추산된다. 교육부는 이 가운데 14만 명 정도를 학생유권자로 파악하고 있다. 충청지역에선 대전이 4800여명, 충남이 5400여명, 세종이 900여명으로 결코 적지 않다. 선거관리위원회와 교육청은 개학과 동시에 방문교육을 통해 이달 말까지 학생유권자 교육을 마칠 예정이었다. 하지만 휴교로 대면교육은 사실상 접는 단계다. 교육청은 선관위가 만든 선거법 안내영상을 학교 홈페이지 등에 올려 시청케 하는 방식으로 선거교육을 꽤하고 있다.

대면교육이 보다 효과적이겠으나 국가적 재난상황에서 실행이 불가능한 이상 선거 홍보안내 책자나 영상물 등을 활용한 대체교육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학생들에게 직접 와 닿도록 내용을 알차게 꾸미는 게 중요하다. 학생 유권자에 대해서는 나름 선거교육을 한다 해도 40만명에 달하는 18세 유권자 교육은 또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다. 선거일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최대한 많은 유권자가 선거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끔 홍보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선거연령 하향 조정 이후 첫 적용되는 선거인지라 기대치가 크다. 2년 후에는 대선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치른다. 일회용이 아닌 체계적인 선거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다. 투표는 민주주의를 배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새내기 유권자들이 올바른 민주시민으로 자랄 수 있는 토양을 깔아줘야 한다. 선거교육을 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