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진단 연구용역… 조직개편 활용
지방분권 강화·조직자율권 확대 등
미래 환경 대응 행정 시스템 마련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세종시가 본청, 소속기관, 의회 및 감사위원회, 읍·면·동을 아우르는 조직 재정비에 나선다.

스마트도시 건설 등 다변화하는 행정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체계 구축부터 효율적이고 책임성이 강화된 혁신 조직 재설계가 타깃이다.

'일하는 직원만 일하는' 기형적 업무구조 시스템 진단에 따른 특급대안도 마련한다.

시는 최근 민간연구용역 업체에 의뢰, 조직진단 연구용역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용역 결과는 당장 효율적 행정조직 개편에 활용된다. 이어 용역 결과를 토대로 오는 2025년까지 중기 행정기구 및 조직개편 방향수립, 중기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자족기반 구축에 무게가 실린 정책 패러다임 변화부터 지방분권 강화, 조직자율권 확대까지 미래에 직면할 행정환경 예측을 이뤄내겠다는 구상이다.

시민주권 행정수도 완성, 균형발전 모범도시 육성 등 중장기 비전에 부합하면서, 스마트도시 건설, 새로운 산업기반 확대 등 전략과제 및 공약 추진을 위한 조직의 기본틀을 마련하는데에도 공을 들이기로했다.

또 스마트 도시 건설, 자율주행차 산업육성 및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전략과제 추진을 위한 조직 재설계를 이뤄낸다.

단층제 행정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능 배분 방안도 마련한다.

지난 2012년 출범과 함께 '단층제(광역+기초) 행정체제' 시험대에 오른 세종시. 시는 현재 '시본청-자치구-동' 구조를 갖고 있는 타 광역자치단체와 달리, 기초업무 수행 기관이 없는 '시 본청-읍면동' 구조의 단층제 행정체제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

광역·기초 행정서비스 기능이 본청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 구조로, 행정수요 폭증에 따른 효율적 행정서비스 실패 등 각종 부작용을 노출하고 있다는 게 불편한 진실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지난 정부가 읍면동 조직지형의 혁신적 변화의 의미를 담아 추진한 책임읍동제(조치원읍·아름동·본청 책임권한 2~3개로 묶인 읍동 분산)는 단층제 부작용 탈출의 기회로 지목됐다.

그러나 여기까지. 문재인 정부 들어 예기치 못한 암흑기를 보내면서 책임읍동제는 힘을 잃었다는 평가다.

단층제 행정체계의 혼란방지와 성공적 정착을 위해 읍면동 기능배분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무게감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가 이 지적을 수용한다. 시는 책임책임읍·동제 시행 이후 효율적인 사무기능 배분을 시도하기로 했다. 본청과 책임읍·동 및 기타 면·동과의 합리적 업무배분, 책임읍·동에 위임된 사무의 적정성 검토를 골자로한다.

광역·기초 자치단체 업무를 동시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 조직 규모, 위임사무 및 업무방식을 구축하는 개선방안도 마련한다.

기존 '일하는 부서만 일하는', '일하는 직원만 일하는' 기형적 조직 구조를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끝이 날카로운 메스를 가해 부서별 전문성을 최대한 살린다는 구상도 냈다.

조직문화 및 행태 진단을 통한 개선방안 마련이 핵심이다. 시는 조직진단 용역을 통해 조직문화 개선 및 일하는 분위기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자체 직무분석을 통해 인력 조정 및 조직 재설계가 가능한 분석방법을 찾아내겠다는 복안이다.

조직개편을 통해 '무능', '불성실' 공무원이 ‘승진’, ‘영전’하는 묵은 조직분위기를 쇄신하고,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직무분석을 통한 효율적 인력 재배치도 이뤄낸다. 시는 단층체 행정체제 극복, 역점시책 추동력 강화, 보다 견고한 행정수도 완성의 기반을 발판을 마련하는 조직개편에 시그널을 고정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변화, 지방분권 강화, 조직자율권 확대 등 미래에 직면할 행정환경 예측과 변화하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행정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