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경제부시장 체제 전환 준비
자율차 상용화 도시 해결 과제
맞춤형 일자리 사업 중점 추진
‘경제통’ … 재정위기 극복 기대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이춘희 세종시장이 경제기반 구축 프로젝트 추진 권한을 사실상 조상호 정무부시장에게 넘겨준다.

자족기능 확충이 절박한 시점, 정책 통이면서 세종시 정상건설 전문가로 꼽히는 조 부시장을 경제기반 구축의 통로로 삼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세종시는 이달 중 정무부시장 체제에서 경제부시장 체제로 전환하는 조직개편을 준비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조례안(세종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은 27일 열리는 제61회 세종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상정돼있는 상태다.

지역개발기금을 활용한 자금조달을 넘어 지방채 발행(정부자금)부터 외부 은행 빚까지. 출범 7년만에 주저앉은 재정여건 속, 세수부족 사태, 빚더미 리스크가 경제부시장 체제 전환을 부추겼다.

세종시는 조 부시장을 앞세워 행정수도 세종 완성 및 도시 안정화 필수요건으로 지목된 ‘경제적 측면 도시기능 확대’를 노린다. 우선 조 부시장은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의 선봉에 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율차 연구개발·상용화 거점도시 도약에 공을 들일 전망이다.

결국 자율차 규제특구, 국책연구개발(R&D) 사업 등을 활용해 자율차 실증을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 자율차를 최초로 상용하는 도시를 조성해내는 게 조 부시장의 몫으로 돌아가게됐다.

또 미래차연구센터 개소, 자율주행 빅데이터관제센터 구축 등 자율주행 관련기관을 설립해 국내외 자율차 기업의 이전을 지원하는 구상도 직접 챙긴다.

조 부시장은 글로벌 탑티어(top-tier, 최고) 수준의 하이퍼스케일로 건립될 예정인 네이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 기반도 구축도 직접 어루만진다.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기업과 산업(빅데이어, AI)의 유치활동도 조 시장의 몫이다.

정보통신 관련 산업 활성화 유발, 직접적인 고용창출, 지방세 세수 증대 등 긍정적 효과를 끌어내는 게 핵심 타깃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바이오합성연구단을 이전·개소하고, 바이오 메디컬활성소재센터 개설 등을 통해 연구장비 구축, 기술이전, 산학협력 등을 지원, 바이오분야 신산업 육성기반을 구축해야하는 숙제도 품는다.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도 반드시 풀어내야할 숙제다. 고용률 67.5%를 목표로 시민이 체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하는 게 목표다.

조 부시장은 안정적인 고용정책 추진기반을 조성하고, 스마트 시티 등 지역 유망산업과 일자리 산업을 연계해 지원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확대·추진하는데 중점을 둘 전망이다.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신규 산업단지 조성도 조 시장의 주요업무로 분류된다. 정부의 소재·부품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과 세종시 미래 신산업 육성 정책을 연계해 신소재·부품 기반 세종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이뤄내는 게 핵심이다.

세종시의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차 등 미래 신성장 국책사업과 충청권의 R&D 기능 간 연계를 통해 국가 신소재·부품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미래 청사진도 내놔야한다.

침체된 상권을 살기위한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및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부터 대학·기업 유치 성공여부도 관심을 끈다.

조 부시장은 “세종시가 계속 발전하려면 경제가 잘 돌아가야한다. 현재 지역 기업들이 불편해하는 것을 하나하나 풀고, 침체된 상권을 살리기 위한 대안을 찾도록 힘쓰겠다"며 “세종시가 행정수도라는 기능에 걸맞게 공공행정과 연계한 마이스(MICE) 산업, 문화예술 및 관광산업, 스마트시티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