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예산 급감·권한 축소 위기도
후임 이문기, 조직 이미지 쇄신 기대
“행복도시 차질없도록… 역량 집중”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또 다시 막다른 길에 내몰렸다. 최근 행복청 조직의 수장인 김진숙 청장이 돌연 조직을 이탈하면서다.

코로나 19 사태라는 엄중한 시기에다, 생존전략 찾기가 절실한 시점, 조직 추스르기를 팽개친채 자리를 박차면서, 행복청 조직은 예기치 못한 혼란의 덧에 걸린 모습이다.

행복청은 직접 주무를 수 있는 자체 예산이 3000억원대 수준까지 곤두박질 치는 수모를 겪으면서, 개청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상태.

예산 급감 미스터리 속에 조직의 힘을 과시할 수 있는 공동주택·건축물 인허가 업무를 세종시로 넘겨주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떠안으면서 와해시기가 도래하고 있다는 전망도 품었다. 행복청의 마지막 존립이유로 지목된 지구단위계획수립·변경안까지 세종시로 넘겨줘야할 처지라는 것도 불편한 진실로 꼽힌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세종시는 이미 행복도시 도시관리·계획 권한을 거머쥐기 위한 준비절차에 돌입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 지정·고시된 예정지역(신도심 건설 구역)이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해제되는데 따른 후속조치 수행이 타깃이다.

앞서 세종시와 행복청은 공사가 완료되는 생활권에 한해, 도시계획·관리 책임을 세종시로 넘기는 내용을 골자로 한 예정지역 해제 절충안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행복청은 도시건설이 완료되는 1·2생활권을 시작으로, 3~6생활권 도시관리·계획 권한을 세종시로 넘겨주게된다.

도시건설 관리 주체와 관련, 기존 행복청의 권한이 줄어드는 반면 세종시 권한은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수행하던 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을 세종시장이 되찾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 이관과 함께 세종시 일계 '국' 예산 수준으로 몸집이 축소되면서, 중앙부처 청 단위 지위를 상실하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행복도시 건설주체라는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느냐’, ‘조직 와해시기가 도래한 것 아니냐’가 논란의 중심에선 것도 이 때문이다.

조직 혼란기와 맞물려, 광역정책(대전·세종·충남·충북)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독립 거버넌스, 행정수도 조성 후 수도계획 수립 광역행정기구, 국가 관리시설 컨트롤타워 간판을 노리며 새로운 살길찾기에 나선 행복청. 새 옷으로 갈아입어보겠다는 행복청의 생존전략 찾기 작업도 무게감을 잃은 모습이다.

그러나 청장의 돌연 조직이탈, 권한축소 등으로 기를 펴지 못하는 처지에 내몰리게 됐다. 소속 직원들의 사기저하와 함께 ‘봉숭아 학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부담이다.

속칭 ‘찌그런 집’ 이라는 오명을 극복하기 위한 체질 개선 등 과감한 혁신·변화는 또 다시 후순위로 밀리게 됐다.

이런 가운데, 행복청의 새로운 수장자리를 꿰찬 이문기 국토교통부 전 기획조정실장이 입방에 오른 행복청 조직의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을지 눈길이 쏠리고 있다.

행복청 한 관계자는 “문제될 게 없다. 도시건설 전문가인 행복청 소속직원들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행복도시 건설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