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원사업 총선 공약 반영여부 주목
보건의료 컨트롤타워 협력체계 강화
지리적 접근성 등 장점 힘 실리길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중앙감염병병원 기능을 품은 국립중앙의료원 세종시 이전 프로젝트가 21대 총선 주요공약 목록에 오를지 주목을 끌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 사태와 같은 국가 비상 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의료 컨트롤타워 기관 간 협력체계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 재조명되면서다.

이런 가운데, 세종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들이 총선 과정, 국립중앙의료원 세종시 이전 프로젝트에 시선을 고정하느냐 여부가 미묘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통상 지역별 숙원사업이 대선·총선 공약을 통해 일순간 국가정책 사업에 수용되고 있다는 점을 의식해서다. 세종시는 이미 국립중앙의료원 세종(5생활권) 유치를 지역발전 핵심과제에 담아 놓은 상태.

당초 계획된 중앙의료원 현대화 사업(신축 이전·서울 을지로→원지동) 프로젝트가 최근 백지화 위기에 내몰리자, 그 틈을 파고들어 세종유치를 노려보겠다는 게 시 구상이다.

앞서 중앙의료원 측은 원지동 이전사업 중단 입장을 표명했다. 중앙의료원 한 관계자는 “이전부지는 경부고속도로와 화장장으로 둘러싸여 의료시설로 부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렸다”면서 “소음문제 해결을 위해 경부고속도로와 이격거리를 늘릴 경우 병원부지가 71%로 축소돼 당초 계획된 규모의 신축이 불가능하다. 방음 터널 설치 시 발생하는 2000억원의 추가비용도 부담”이라고 말했다.

서울 원지동 9만 4983㎡부지에 5700억여원을 들여 700병상 규모의 신축 의료원을 개원하는 게 핵심이다. 무엇보다 신종 감염병 유행 확산에 대비한 신속 진단, 감염병 전용 격리시설 등 감염병 전문 치료체계 구축을 타깃으로, 별도의 중앙감염병병원 설립안(1294억원·연면적 3만 4709㎡)이 포함됐다는 게 매력적이다.

그러나 전략환경영향평가 과정, 소음기준 부적합 문제 등 각종 논란이 제기되면서, 서울 원지동 이전안은 무산분위기로 돌아선 모습이다.

2003년 서울시의 국립의료원 이전 방안 제시, 2005년 복지부 신축 이전 추진, 2010년 국립의료원 이전 관련 서울시-중앙의료원 MOU체결, 2016년 서울 원지동 사업부지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집행 등 16년간 지속돼온 신축이전 추진 흐름이 일순간 뒤집힌 셈이다.

중앙의료원 세종시 신축이전안이 신개념 대안으로 집중 부각된 것도 이때부터다. 세종시 입지 명분은 차고 넘친다.

시는 국가비상 시 보건의료 컨트롤타워인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와 지근거리에 위치해 신속하고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중앙의료원 세종 이전 명분으로 앞세우고 있다. 또 전국 어디서나 접근이 용이해 대규모 재난 시 단시간 내 최적의 공공의료 대책을 내놓고 실행으로 옮길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보탰다.

시 관계자는 “복지부 결정을 주목하고 있다. 우선 복지부와 서울시 협의가 마무리돼야한다. 국립의료원장 면담을 통한 이전 건의 등 시 차원의 유치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21대 총선과정 세종시 이전안에 힘이 실렸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중앙의료원 이전 프로젝트의 수정작업 추진여부는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간 협의결과에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복지부 공공의료과 관계자는 “서울시와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선 중앙의료원 이전위치를 분명하게 결정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