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오 청주TP 자산관리 사업기획본부장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각하다.

지방은 차별과 소외는 고사하고 소멸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국토면적의 8분 1 정도 남짓한 수도권에 전체인구의 50%가 거주하고, 대기업 등 본사의 74%, 문화컨텐츠 산업의 86%, GRDP(지역내총생산)와 지방세 규모가 전국 총액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단계에 있는 자치단체가 97개에 이른다. 소멸위험지역에서는 지역산업의 쇠퇴와 일자리 감소, 지방재정의 악화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 소멸위험이 높을수록 재정자립도가 낮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삶의 질도 편중되고 있다. 그러면 수도권 집중현상은 왜 일어나는가. 2018년 신설법인 10만 2042개중 60%가 넘는 6만 2018개 기업이 수도권에 자리 잡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4분기 청년 고용률을 보면 수도권은 서울 47.7%를 비롯해 인천 49.8%, 경기 46.7%를 보인 반면, 비수도권은 대부분 30%대에 머물고 있다.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나는 청년들의 지방탈출현상은 장기적으로 지방소멸위기를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결국수도권과 견줄만한 좋은 일자리와 정주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것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첨단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청주시 산업단지는 이미 가동되고 있는 10개소 2246만 4000㎡ 외에도 청주테크노폴리스, 오송바이오폴리스, 오창테크노폴리스 등 5개소 384만 9000㎡의 산업단지가 추진 중이다. 또 오송3단지, 서오창, 북이 등 8개소의 개발도 예정돼있다. 이렇게 조성되는 산업단지는 지방도시 청주가 수도권과의 경쟁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청주시의 GRDP 성장률은 28.5%로 전남 영광군에 이어 전국에서 2위다. 소멸위기에 있는 자치단체들이 10% 미만에 머무는 것과 비교할 때 독보적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지방세의 성장은 괄목할 만하다.

최근의 산업단지는 예전에 조성한 산업시설 위주의 공업단지와는 다르다. 산업시설 뿐아니라 이를 지원할 주거·상업·유통·복지·문화·교육 등 다양한 업종과 지원시설을 연계 배치하는 복합개발을 하고 있다. 또한 녹지와 공원 등 녹색인프라는 물론 녹색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첨단복합 산업단지는 계획적인 도시개발로 난개발을 방지함으로써 질 높은 정주여건을 조성해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미세먼지 등 공해발생과 자연훼손을 이유로 산업단지조성 자체를 터부시 하는 경향도 없지 않다. 이제 우리는 수도권 초집중화, 지방소멸의 시대를 맞아 상생과 공존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그것이 지금 이 시대, 지방이 사는 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