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호 청주시 청원구 산업교통과 지역경제팀장

인구 통계를 보면 출산율 감소로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반대로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2000년 222만 가구(15.5%)에서 2018년에는 584만 가구(28.6%)로 지속해서 증가해 우리나라 가구 형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아닌 가구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와 맞물려 빠르게 확장하고 배달음식 문화가 우리나라 쓰레기 배출량에 한몫을 하는 것을 부정하기가 어렵다.

얼마 전 TV에 서울 한강공원 쓰레기 문제에 대한 뉴스가 나왔는데 한강공원에서 배출되는 배달 쓰레기가 2017년 기준 4832t에서 해마다 10%씩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많은 것은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배달음식 문화의 영향이며, 한국이 플라스틱 생산시설을 갖춘 나라 가운데 3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청주에서도 아파트 단지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가에서도 배달용 오토바이가 쉴 새 없이 오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느 오피스텔 뒤편 쓰레기 분리수거장이나 주택가 공한지에 가보면 유독 많은 플라스틱 포장재가 보이고, 대부분 음식물이 묻어 있어 재활용이 어렵고, 특히 벌건 라면 국물 자국이 변색해 있어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환경부가 집계한 전국 폐기물 통계조사를 보면 1인당 쓰레기는 가구원이 적을수록 많았다. 4인 가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1인당 하루 평균 103g, 3인 가구 135g, 2인 가구 145g, 1인 가구는 207g으로 1인 가구가 4인 가구의 거의 2배나 된다.

문제는 쓰레기의 양도 늘어나지만 쓰레기의 질도 나빠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포장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1인당 연간 61.9㎏으로 1위인 벨기에(85.1㎏)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48.7㎏), 중국(24㎏)보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음식뿐만 아니라 요즘 웬만한 음식점에서도 대부분 메뉴가 포장할 수 있고 일회용 포장재를 사고파는 일이 너무 쉬워서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만 하면 1개당 가격이 몇 십원에서 몇 백원에 불과한 각양각색의 플라스틱 용기를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사용은 미세 플라스틱 문제로 이어져 해양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으며,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비용도 치솟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6년 1t당 7만 원이던 매립 단가가 2019년 14만 원으로 3년 새 2배나 뛰었으며 소각 단가도 2016년 18만 원에서 2019년 26만 원으로 증가했다. 정부에서도 자원순환기본계획에 따라 폐기물 매립이나 소각 대신 재활용을 늘려나가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말하자면 쓰레기는 늘고 퇴로는 막혀가고 있다.

평소에 우리가 배출하는 쓰레기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너무 무관심한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장 설치는 반대하면서 일회용품은 열심히 사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이번 기회에 우리 자신을 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