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위치한 대덕산업단지(이하 대덕산단)가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편입된 지 올해로 15년이 됐지만 정작 입주기업 지원이나 혜택 등 기대효과가 적어 현장의 불만이 높다.

초기 대덕연구단지의 장점을 활용해 지역기업의 기술사업화를 도모하고자 대덕산단을 대덕특구로 지정했지만 수십 년 된 기계·부품 등 전통제조업이 대부분인 탓에 연구현장과 동 떨어지고 신기술을 접목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덕산업단지 전경. 사진=네이버 지도 캡처
대덕산업단지 전경. 사진=네이버 지도 캡처

26일 대전시, 대덕산업단지관리공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재단)에 문평동과 신일동에 위치한 대덕산단이 대덕특구로 지정된 지 올해로 15년째 접어들었다.

2005년 대덕산단은 대덕연구단지의 연구인프라와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기대하며 대덕연구개발특구법을 적용받도록 관련법을 개정했다.

이후 2008년 대전 제3·4단지를 지금의 대덕산단으로 명칭을 바꿨고, 관리 권한이 대전시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재단법인인 특구재단에 이양됐다.

하지만 대덕특구에 묶인 대덕산단 입주기업들의 산업환경 개선 여부는 15년이 다 돼 가는 지금까지도 미지수다.

현재 대덕산단 입주기업 354개 중 기계·부품 업종만 155개로 전체 43%를 차지한다.

지정 초기 기대했던 연구단지를 활용한 기술사업화 실현은 전통제조업이 대다수인 대덕산단의 산업환경과 맞지 않았고, 특구재단 지원사업 등에 있어서도 업종 제한이 많아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이득은 저조한 현실이다.

또 과기정통부 산하 국가산업단지가 이미 지정돼 있다는 점 역시 정부의 추가 산업단지 입지정책 계획에서 대전이 제외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방기봉 대덕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은 “대덕연구단지와 대덕산단은 현재 전혀 교류가 없고 접점이 없다. 처음에 대덕특구에 편입되면 지역기업들에 나름대로 혜택이 주어질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15년이 흐른 지금에 와서도 전혀 지원이 없다”며 “산학협력 네트워크인 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도 전통제조업자들은 포함되지 않는데 서로 이해관계가 없어 섞이질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단지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많고 일종의 그들만의 리그가 형성돼 있다. 지역기업들은 어울리기 힘든 구조”라며 “보다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위해선 차라리 대덕특구 지정 해제가 낫다”고 덧붙였다.

이에 관리권한이 없는 대전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분위기다.

시 관계자는 “특구재단에서 관리하고, 정부부처가 상위기관으로 있기 때문에 시 입장에서도 대덕산단은 굉장히 불편한 곳일 수밖에 없다”며 “현재 1·2단지는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조성 30년이 가까워져 노후 된 대덕산단은 재생이 어려운 구조”라고 전했다.

이어 “시 조직도 산업단지 자체는 일자리경제국인데 또 대덕특구는 과학산업국에서 맡다보니 여기저기 걸려있는 대덕산단의 문제의식에 대해선 충분히 공감하지만 해결하기 상당히 어려운 곳”이라고 답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