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일이 다가오고 있지만 선거구 조정이 늦어지고 있다. 국회가 선거구 획정을 미루면서다. 게다가 코로나 19 확산으로 국회 의사일정이 차질을 빚어 선거구획정 논의마저 오리무중이다. 진즉에 선거구를 획정했더라면 선거가 임박해 부산을 떠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17대 총선 이후 지금까지 여유 있게 선거구를 획정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선거일을 코앞에 두고서야 부랴부랴 선거구를 정하는 구태반복을 유권자들은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나.

각 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있는 사안인지라 여야의 기 싸움이 거세다. 선거구 획정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의견을 내면 중앙선관위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이를 토대로 획정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하는 절차를 거친다. 선거법상 선거구획정위의 선거구획정안 국회 제출 법정시한이 선거일 전 13개월인 지난해 3월 15일까지이고 보면 늦어도 한참 늦었다. 선거구획정을 선거일 1년 정도 전에 정하도록 한 건 지역구 급조를 막고, 선거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위해서다.

선거구 조정 대상지역을 중심으로 '깜깜이' 선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선거구 인구 하한 13만6565명, 상한 27만3129명을 기준치로 제시했다. 이 기준대로라면 충청지역에서는 인구 34만명을 초과한 세종이 분구지역에 해당한다. 하지만 선거구 획정이 안 돼 예비후보들은 어느 지역에 출마할지, 어떤 공약을 제시해야 할지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수들이 경기 규칙을 모르고 링에 오르는 것과 다를 게 없다. 세종시 선관위에 등록한 예비후보만 40명에 달한다.

유권자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 어떤 후보가 출마하는지 알 수 없는 까닭이다.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정치신인들은 불만이 더 많다. 자신을 알릴 기회가 적어 선거전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선거 전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둔다는 선거구 획정의 취지를 생각한다면 국회의 직무유기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유권자와 예비후보들은 안중에도 없는 건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