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밭 등 경지면적이 7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는 건 지나칠 일이 아니다. 지난해 전국 경지면적은 158만957㏊로 전년의 159만5614㏊보다 약 1만4657㏊나 줄었다. 통계청의 '2019년 경지면적조사 결과'에서다. 통계청이 2012년 위성영상 촬영을 통한 원격탐사를 실시한 이래 7년 연속 경지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조사로 통계를 작성하던 그 이전에도 경지면적은 매년 줄어들었다. 정점을 찍은 1968년 232만㏊와 비교하면 현재의 경지면적은 확 쪼그라든 셈이다.

경지면적이 감소하기는 충청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전남(28만8000ha), 경북(26만ha)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넓은 경지면적을 보유한 충남의 경지면적은 21만428ha로 전년(2018년)의 21만1577㏊에 비해 1149㏊나 감소했다. 충북은 전년보다 970㏊ 줄어든 10만1900㏊, 대전은 52㏊가 줄어든 3742㏊, 세종특별자치시는 116㏊ 줄어든 7588㏊로 집계됐다. 세종시의 경지면적 감소비율은 -1.5%로 부산(-3.1%), 대구(-2.5%) 다음으로 높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경지면적 감소의 주 원인으로 건물 건축, 유휴지 등을 꼽을 수 있다. 토지 공급은 유한한데 개발수요는 늘어나다보니 농지가 야금야금 잠식당하고 있는 것이다. 도심에 가까운 농지일수록 농지전용이 많다. 증산을 하겠다며 간척사업을 벌인 때를 떠올리면 격세지감을 느낀다. 충남 서해안 일대에 간척지구가 산재해 있다. 최근 들어서는 간척지를 원상태로 되돌리는 역간척 사업이 추진되고 있을 정도다.

굳이 식량안보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경지면적 감소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평균 24%에 불과하다. 쌀만 자급률이 100%를 넘을 뿐 나머지 곡식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세계 각국은 식량을 무기화할 우려를 낳고 있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상이변은 식량수급의 미래를 불안하게 한다. 경지면적이 매년 감소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식량 확보 대비책은 있는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