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일 앞으로 다가온 21대 총선을 앞두고 충청권 표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금강벨트로 불리는 충청권은 역대 선거에서 영호남과는 달리 특정 정당에 일방적으로 표를 몰아주지 않는 경향을 보여줬다. 한때 지역에 기반을 둔 자민련이 대전·충남 의석을 석권하기도 했으나 지역정당이 사라지면서 이슈에 따라 투표를 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지역색은 특정 정치세력에 휘둘리지 않고 진보와 보수가 균형을 이룬다는 분석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충청 홀대론'을 고착화한다는 견해와 맞물린다.

21대 총선은 임기 반환점을 돈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의 장이자 2022년 대선 전초전으로 불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최근 다시 뭉친 미래통합당의 양강구도 속에 군소정당들이 다투는 형세다. 여당은 촛불혁명의 개혁 과제 완수를, 야당은 정권 심판론을 내세워 일전불사를 외치고 있다. 여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면 재집권의 교두보 마련에 바짝 다가설 게 분명하다. 반대로 야당의 승리는 탄핵의 그림자를 지우고 정권 탈환의 토대를 다지는 변곡점이 될 수 있다.

이번 총선에서 충청권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여야 중앙당은 영호남에 비해 충청권의 비중을 낮게 보는 듯하다. 충청은 지역색이 뚜렷하지 않아 서로 우리 편이라고 해석할 소지가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대권 주자급 인물이 없는데다, 의석수와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분위기를 반전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충청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넘어 중앙정치의 핵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

중원을 잡아야 제1당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충청의 표심이 판세에 미칠 파장은 만만찮다. 충청이 제목소리를 낼 때 비로소 충청 홀대론은 사라지고, 지역발전도 앞당길 수 있다고 본다. 대전, 세종, 충남·북 지자체가 지역의 주요 현안을 추려 총선 공약으로 채택해달라며 중앙당에 요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역발전을 총선과 연결 짓자는 것이다. 충청의 역량을 보여줄 중차대한 선거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