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에서 번 돈의 상당액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해가 갈수록 유출규모는 커지는 형국이다. 돈의 종착역은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서울과 경기도다. 지역에서 창출된 소득이 지역에 재투자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니 문제다. 충남은 지역생산이 해마다 늘어 국가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지만 성장 과실을 뺏기는 꼴이다. 돈이 역외로 새니 지역경제 활성화가 구호에 그치지 않을까 우려된다.

충청권 소득 역외유출 규모는 항상 전국에서 상위권을 다툰다. 충남은 2016년 27조2000억, 2017년 30조8480억원, 2018년 30조 4800억원(잠정)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충북은 2015년 9조, 2016년 9조9698억, 2017년 13조9000억원이 역외로 유출됐다. 2016년 서울, 경기지역 소득 유입은 62조3271억원으로 지방에서 번 돈이 수도권으로 쏠리고 있음을 입증됐다.

돈이 지역에서 돌아야 한다. 그래서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인프라 확충이 중요하다. 이미 진출했거나 진출 예정인 대형유통매장은 현지 법인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공헌도를 높인다는 차원에서 설득 명분이 충분하다. 현지법인이 설립되면 지방세 증대, 지역자금 선순환, 독립적 경영, 지역 업체 입점, 고용 창출 등 효과가 많다. 현지법인화가 곧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직결되는 이유다. 대구, 울산, 광주시가 유통업체 현지법인화에 올인하는 이유를 주목해야 한다.

소득 역외유출은 수도권 외 많은 지역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다. 우선 생산과 소비가 한곳에서 이뤄질 수 있는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 지역에서 생산된 부가가치가 역외로 유출된다면 지역경제는 침체될 수밖에 없다. 그동안 투자유치 실적에만 치중한 탓에 수도권에 본사를 둔 기업들이 지방에 생산설비만 갖추는 경우가 많았다. 정주환경(교육, 문화, 의료)이 잘 갖춰지면 출퇴근 근로자도 매우 줄어들 것이다. 아울러 본사 지역 이전을 촉진할 수 있는 각종 인센티브제 도입 등 강력한 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