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샘플도 확보 못해…질본- 연구현장간 협력 시급
“전주기 R&D시스템도 필요”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에서 다양한 전염병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 성과에 대한 국민 체감도는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관련 성과들이 실제 국민들이 필요한 부분으로 이어지려면 무엇보다 감염병 관리 주무부처인 질병관리본부와 연구현장간의 보다 효율적이고 긴밀한 협력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3일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불거진 코로나19 사태와 관련된 연구성과 및 현장 의견을 청취하는 간담회가 개최됐다.

현재 과기계 출연연 중 감염병 관련 연구를 하는 곳은 크게 한국화학연구원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다.

그중 융합연구단의 경우 2016년 메르스 사태 때 6년간의 장기프로젝트 집단으로 8개 출연연이 협동해 화학연 내 구축됐다. 이들의 연구기간은 공식적으로는 내년 7월 종료된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점차 확산되자 최근에서야 부랴부랴 관계부처를 꾸려 긴급 합동대응에 나섰다.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된 지 벌써 한 달이 넘었지만 관련 연구진들은 여지껏 바이러스 샘플을 확보하지 못해 현 재난안전 문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졌다.

통상 바이러스 샘플 분양은 질병관리본부에 분양신청서, 병원체자원 관리와 활용계획 등 서류를 갖춰 신청하고 교육, 연구 목적인 경우 접수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심사가 이뤄진다.

최종 분양은 결과 통보 후 30일 이내다. 이르면 내주에나 샘플이 융합연구단에 분양될 예정이다.

현행 시스템으로는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 개발돼도 실제 국민들에게 백신 및 치료제로 활용되기까지는 최소 1년 이상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특히 골든타임이 중요한 전염병 대응은 발생 예측과 확산 방지, 치료까지 원사이드 방식으로 진행돼야만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에 연구진들은 21세기를 감염병 시대로 꼽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내 감염병 대응 시스템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융합연구단 관계자는 “무엇보다 주무부처인 질병관리본부와 연구현장 간의 긴밀한 소통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며 “또 신종 바이러스의 지속적 대응 위해선 연속적인 전주기 R&D시스템을 정부 차원에서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