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 열화상카메라 미진…정부, 특교세 15억여원 지원
필수장치 불구 고려대상 제외, 대전, 이제야… 충남·세종 아직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합동 방역이 실시된 10일 동구보건소 직원이 대전역 대합실에서 방역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재훈 기자 jprime@cctoday.co.kr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합동 방역이 실시된 10일 동구보건소 직원이 대전역 대합실에서 방역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재훈 기자 jprime@cctoday.co.kr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다중이용시설 '열화상카메라' 설치에 손을 놓고 있던 충청권 지자체가 급급하게 대응에 나섰다.▶관련기사 2·3·5·6·7·8·20·21

매일 수많은 인파가 몰리는 터미널과 역 등은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1차 방어선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 설치를 통한 감염병 확산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그동안 충청권 지자체들은 이에 대한 대책을 손 놓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열화상카메라는 카메라 앞을 지나는 사람의 체온이 37℃를 넘길 경우 경보음을 통해 이를 알려주는 장비다.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발열 등 대상자와 접촉하지 않은 채 감염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대전과 충남, 세종에선 열화상카메라가 설치된 곳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행안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방역 물품 지원 등을 위해 사용될 특별 교부세를 전국 지자체에 지원했다.

충청권에선 충남과 충북이 각각 7억원, 대전 1억원, 세종 5000만원 등의 특별교부세를 지원 받았다.

충청권 지자체들은 특별교부세를 활용해 방역에 필요한 물품 구입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가장 시급하게 설치돼야 할 열화상카메라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전국 지자체들은 특별교부세와 각 지자체의 재난안전특별기금을 통해 열화상 카메라 구입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충청권에선 이에 대한 설치 필요성을 갖지 않았던 것이다.

이후 언론보도 등을 통해 열화상 카메라를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자, 지자체들은 뒤늦게 열화상 카메라 마련에 나서게 됐다.

터미널과 역은 도시의 첫 진입로지만 현재로선 최소한의 방역망조차 없는 셈이다.

특히 대전은 사통팔달 도시로 폐렴이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 우려를 불식하는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철도와 대전복합터미널 측은 이미 여러 차례 열화상카메라를 설치해달라고 시에 요청했지만 계속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설치 인력부족과 열화상 카메라 물량 부족 등의 이유로 계속 미루기만 한 것이다.

이후 전국적으로 감염병 확산세가 이어지자 시는 뒤늦게 열화상카메라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번 주 내 대전역과 서대전역, 복합터미널에 설치될 예정이다.

충남도의 경우 다중이용시설 열화상카메라의 설치 여부 필요성 조차 못 느끼고 있다. 역과 터미널 등이 자체적으로 열화상카메라를 설치해야 된다는 입장만 전하고 있다.

세종 역시 마찬가지다. 관내 터미널 3곳에 방역 소독기와 소독제만을 지원하고 있다.

전문 인력 확보와 열화상카메라 운영을 위한 교육의 부재를 이유로 열화상카메라 도입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들이 폐렴 감염 확산에 대비해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지적한다.

지역 의료계 한 관계자는 “역이나 터미널은 지역 간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지역 방역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며 "열화상카메라 설치로 감염증 확산 예방과 시민 불안 해소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