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비상] 충청권 ‘청정지역’ 유지
확산 경로, N차 감염화…지자체 공조 강화 필수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폐렴) 대응을 위해 앞으로 열흘이 중대고비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충청권 지자체의 총력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앞선 메르스, 홍역사태 등 감염병 급속전파 사례를 고려했을 때 현재와 같은 폐렴 청정지역 유지를 위해서는 방역자원을 총동원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목소리다.

9일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 등에 따르면 이날 기준 충청권 내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지난달 31일 충남 아산 임시생활시설에 입소해 격리생활 중이던 우한 교민 1명이 24번 확진자로 판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지역사회 내 1·2·3차 감염 사례는 전무한 상태다. 이 같은 충청권의 청정지역 상태 유지는 각 지자체의 선제적 대응이 주요했다는 분석이다.

대전시의 경우 폐렴 유행 초기였던 지난달 말부터 24시간 가동 중인 비상방역 대책반을 기존 6개반 20명에서 50명으로 확대 운영해 초기진화에 나섰다. 이달 초부터는 각종 문화예술 공연 취소 및 공연장 임시폐쇄를 결정했으며 발열감시 카메라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및 지역거점병원, 선별진료소에 순차적으로 확대 설치해 감시망을 좁혀놓은 상태다.

세종시와 충남도도 감염증 대책반 운영 등을 폐렴 초기 24시간 비상연락체계 및 보고체계를 유지해 1차 방역을 실시한 뒤 마찬가지로 대형행사 등을 취소해 전파요소를 차단해 놓았다. 다만 충청권 인접지역까지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탓에 충청권에서는 선제대응 외 추가적인 방역 총력전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전국적으로 이번 폐렴의 확산 경로가 점차 N차 감염화 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중앙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한계 및 접촉범위 광역화가 기정사실화가 된 만큼 방역 고삐를 더욱 조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뿐만 아니라 지난 메르스 사태 등 전염병 취약대처 사례에 비춰 앞으로의 폐렴 사태 고비기간 동안 방역 총력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지적이다. 실제 메르스 사태 당시 대전에서만 24명의 확진자가 나오는 등 대전·충남 전역에서 모두 33명이 감염돼 12명이 숨지고 3000여명이 격리된 바 있다. 지난해 4~5월에는 영유아 중심 홍역이 유행했지만 대전에서 최초 확진자가 나온 이후에야 뒤늦게 차단 방역과 역학 조사에 나서 방역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에 반해 전염병 예방 모범 사례로 빛났던 2003년 사스 사태의 경우 중앙 주도의 컨트롤타워 지휘 아래 대대적 방역이 114일간 체계적으로 이뤄졌다. 8273명의 전세계 확진자 발생 상황에서 단 3명의 국내 감염자만 발생했다. 사망자는 단 한명도 나오지 않았다. 결국 충청권도 현재 확진자 제로 상황을 끝까지 유지하기 위해선 대전과 세종, 충남 등 각 지자체 간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를 통해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 누수 없는 방역망을 구축함으로써 사스 예방 사례를 재현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전시 관계자는 “문화공연, 대형행사 등에 대한 임시폐쇄 조치에 이어 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이용 제한 조치를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며 “필요시 충남 등과 공조 및 지자체별 추가 대책을 통해 충청권 확진자 제로 상태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