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7개 동과 세종시 모든 면이 소멸위험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읍·면 단위를 중심으로 인구소멸 지역이 출현할 것이란 전망은 그동안 여러 연구에서 제기됐지만 광역시와 특별자치시의 인구소멸 전망은 예사롭지 않다.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이다. 반면 인구 고령화의 속도는 가장 빠르다. 저출산·고령화야말로 지역소멸을 앞당기는 가장 큰 요소라고 하겠다.

'지역소멸 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지역에 대전 동구 중앙·대청·판암2동, 중구 문창·석교·부사동, 서구 기성동 등이 포함됐다고 한다. 소멸위험 진입단계는 아니지만, 가양2·태평1·중촌·문화2·변·중리·법2·덕암동 등 41개 동의 위험지수가 1.0 미만으로 낮아진 건 주목할 일이다. 세종시는 모든 면이 소멸위험 진입 지역으로 나타났다. 위험지수가 1.0 미만이면 '소멸위험 주의',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진입',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으로 분류된다.

소멸위험 지역이 농촌지역에서 도심지로 급속히 확산하는 모양세다.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를 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97개로 전체 시·군·구의 절반에 육박한다. 2013년 75개에서 2018년 89개로 크게 늘었다. 30~40년 전만해도 대전의 중심지였던 곳이 소멸위험에 처할 정도로 정주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원도심의 쇄락을 감안하지 않은 무분별한 신도시개발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인구의 자연이동을 강제로 막을 수는 없겠으나 그렇다고 소멸지역, 즉 지역공동체의 기능상실을 방관해선 안 된다. 대전은 20대 인구비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이들이 대전에 줄곧 거주할 수 있게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 세종시는 읍·면·동간 격차가 너무 심하다. 이는 지역주민의 화합차원에서도 바람직스럽지 않다.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도·농 상생의 맞춤형 대책마련이 그래서 긴요하다. 저출산 문제 해결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