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토론회…“R&D혁신 생태계를”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과학도시 대전지역 혁신역량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거듭 강조되며 지자체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전의 경우 R&D 투자 규모가 비수도권 가운데 가장 높지만 대부분 중앙정부 중심 투자로 시 자체 예산은 미미해 지역차원의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6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이 개최한 ‘국가기술혁신체계 2020s 대토론회’에서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혁신 대응방안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김성진 KISTEP 지역정책팀장은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지역의 핵심문제를 지역이 스스로 발굴하고 해결하는 자생력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선 지역현장에 권한 이양 등 지역 혁신을 위한 다양한 발판이 마련돼야 하는데 그간 중앙정부 중심의 R&D 투자방식과 대조되는 지자체 역할을 강조했다.

실제 과학도시로 꼽히는 대전은 서울과 경기도와 더불어 대학·공공부문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3조 9710억원으로 가장 높지만 대부분 국비로 지자체 자체 예산은 미미한 수준이다.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해 각종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특허, 인력, 기술료, 시설 등 훌륭한 R&D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역 역량에 의한 결과가 아닌 대부분 정부 주도식 지원에 의한 결과로 풀이된다.

광역지자체 차원의 과학기술혁신 전담부서도 부재한데 이는 지역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의지 부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지자체 주도의 특화된 지역혁신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를 위해선 대전시도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전담 조직과 이를 지원할 지역 싱크탱크를 구축하고, 보유하고 있는 혁신자원이 부족하다면 타 지역과 협력하는 등 관련 창구를 만들어야 한다.

김성진 지역정책팀장은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지역 R&D혁신 생태계 조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지자체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지역혁신주체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행정구역을 넘나드는 지역 간 협력 강화를 통해 연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