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2개월 남짓 앞두고 충청지역 출마예정자들이 각종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발맞춰 지자체들은 지역의 주요 현안이 각 당의 공약에 담길 수 있게끔 노크하고 있다. 여야가 앞 다퉈 총선용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전국적인 사안에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이다. 최근 내놓은 공약만 해도 민주당의 3년 내 어린이 보호구역 무인카메라 설치, 자유한국당의 여성 안전을 위한 성범죄자 알림문자 서비스 지원 등 다양하다. 전국 공통 이슈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충청권과 직결된 공약이 중앙당 차원에서 채택돼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공약으로 채택되면 사업 이행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굵직굵직한 지역 현안만 추려 봐도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호남선 철도 지하화, 서해선 복선전철 서울직결, 대전의료원 설립 등 여럿이다. 어느 하나 긴요하지 않은 사업이 없다. 이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 역량도 중요하나 중앙 정치권의 입김이 절대적이다. 국회통과 및 정부예산이 수반되는 까닭이다.

이런 면에서 대전시가 20여개 주요 현안을 각 당의 21대 총선공약으로 채택 해줄 것을 공식 건의키로 한 건 잘한 결정이다. 전체 사업비가 17조5000억원을 넘을 만큼 대전 발전과 직결되는 사업이다. 충북도도 국가계획에 포함된 강호축(강원∼충청∼호남) 개발 등 국회의원 후보들에게 전달할 공약개발에 나섰다고 한다. 총선이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변곡점이라고 하면 지역 숙원사업 해결의 호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충청 소외론'이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4·15 총선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확실히 이끌어 냈으면 한다. 중앙당의 정식 공약 채택을 통해 가능하다. 나아가 21대 국회 회기 내에 사업이 가시화 될 수 있게 유대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역대 선거를 보건데 중앙발 공약에 지역공약이 묻히는 경향이 있었다. 이번 총선에서는 달라진 점을 보여주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