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최전선을 지키는 역학조사관이 부족하다는 보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충청권 지자체의 역학조사관은 대전 1명, 세종 3명, 충남 2명, 충북 3명으로 파악됐다. 이중 의료인은 소수이며, 대부분 일반직 공무원이 교육을 받은 후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고 한다. 군복무 대신 의료활동을 하는 공중보건의의 경우 근무기간이 3년에 불과해 교체가 잦다. 업무 연속성의 한계, 업무 과중 얘기가 그래서 나온다.

무엇보다 전문인력 확보가 긴요하다. 관련 법령은 광역시·도에 2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두도록 하고 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어서다. 시·도 역학조사관 50여명 중 전문임기제 인력은 10명도 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역학조사관은 방역 최전선에서 감염병 관리를 담당하는 '질병 수사관'으로 불린다. 감염병 발생 원인, 감염 경로 등을 파악해 발생 장소를 폐쇄하는 등의 중대업무를 맡는다. 축적된 지식과 숙련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역학조사관 부족 현상은 일견 예상된 일이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도 역학조사관을 확보하지 못해 애를 태웠다. 일이 터지고 나서야 부산을 떠는 모습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전문 인력을 확보해야한다는 목소리는 메르스가 잠잠해지자 곧장 수그러들었다. 당시 인력 수급대책을 철저히 세우고 이행했더라면 지금에 와서 인력부족 운운하지는 않을 거다. 단기 양성이 힘든 역학조사관은 장래를 내다보고 육성해야 옳다.

언제 새로운 전염병이 덮칠지 모르는 처지이고 보면 더 늦기 전에 역학조사관을 키워야 한다. 역학조사관 지원자가 많지 않은 데는 분명 이유가 있다. 처우와 운영시스템이 미흡하다는 얘기가 들린다. 근무환경이 열악하면 유능한 인재를 뽑을 수 없다. 역학조사관은 국민건강과 직결된 업무를 수행한다. 체계적 양성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