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돌발 악재에 전 세계 경제가 몸살을 앓고 있다. 아시아 주요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큰 폭으로 급락하는 등 코로나 영향이 금융시장 전반에서 공포로 몰려오는 양상이다. 최근 2주간 증시 등락률을 보면 중국 상하이 종합 -11.67, 코스피 -5.85, 일본 닛케이 -3.48, 미국 다우존스 -3.72로 줄줄이 하락 장세다.

중국산 부품의 조달 차질이 장기화 한다면 기업의 리스크는 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예상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중국내 부품공장의 생산차질을 빚자 쌍용차가 가동을 중단된 상태다. 현대차도 일부 부품이 떨어지면 일시 생산라인을 멈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의 충격 규모가 1600억달러(191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추산했다. 사스 사태 당시 경제 피해 규모인 400억달러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대전시가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로 피해 기업을 위해 지원책을 가동한 조치는 다행스럽다. 5개 경제단체와 4개의 출연기관으로 구성된 실무 준비팀이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사례가 없는지 꼼꼼히 모니터링 중이다. 중국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지역 중소기업이나 수출관련 거래 중단으로 직간접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을 위한 선제 대응책이 돋보인다. 상시 피해 접수창구를 운영하고 긴급 경영안정자금도 지원한다고 하지만 피해기업 입장에서 찔끔 지원이 그치지 않도록 충분한 예산 편성이 뒷받침돼야겠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종식 시점을 현재로선 가늠하기 어렵다. 가뜩이나 어려운 때 코로나 쇼크가 장기화 한다면 기업 활동 차질은 물론 소비 위축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자체 행사 취소가 잇따르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꺼리는 것만 봐도 실물경기가 나빠지는 신호다. 지자체는 수출, 제조, 유통 등 분야별 중장기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대책 마련에 소홀함이 있어선 안 된다.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는다"는 속담이 있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그만큼 비용도 더 든다.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할 대응책을 재점검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