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학교부적응 등 이유로 대전內 중도탈락 학생 2년새 1000명 이상 높아
대학들, 재정지원·경쟁률 하락 등 타격… 멘토교수제 등 예방책 효과 낮아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학업을 중단하는 중도탈락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지역 대학가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중도탈락의 사유로 미등록·미복학·자퇴·학사경고 등 가운데 자퇴가 50%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대학마다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실효성 없는 미봉책에 그치고 있다.

16일 대학알리미와 지역 대학교에 따르면 대전지역 대학가의 중도탈락 학생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배재대·한밭대·목원대·우송대·대전대·한남대·충남대 등 7개 대학의 중도탈락 학생 수는 2017년 4646명에서 2018년 4692명 지난해 5799명으로 1000명 넘게 증가했다.

대학들은 중도탈락의 요인으로 상위권 대학 및 학과 편입, 학교 부적응 등을 꼽고있다.

지역대학 관계자는 “재학생의 경우 전공 및 수업 만족도가 낮거나 수도권 대학 편입학으로 취업을 하려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다”며 “신입생의 경우 자아형성정도에 변화를 보여 휴학 및 자퇴를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등록금에 의존하는 사립대학들의 경우 중도탈락비율이 높으면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이다.

학사처 관계자는 “인원이 줄면 입학자원이라던지 대학 경쟁률에 타격이 크다”며 “지방보다는 수도권 지역에서의 취업률이 더 높아 편입학하는 학생들을 붙잡기는 힘들다”고 전했다.

각 대학들은 중도탈락 학생을 막기 위해 학교 생활 적응을 돕거나 학과 상담 등을 통한 예방책을 펼치고 있다.

한남대는 전학년 대상 매학기 3·9월에 캠퍼스 적응문제부터 진로설정 등 학업전반에 관해 교수와 상담을 통한 ‘멘토교수제’를 진행하고 있다.

충남대는 ‘또래상담자 프로그램’을 통해 비슷한 연령대의 생활 경험과 가치관을 지닌 대학생이 다른 또래 학생에게 동기 향상 및 학내 위기상황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했다.

한밭대는 지난해부터 전과제도를 활성화시켜 전과 기회를 1회에서 최대 2번까지 확대했으며 대상도 3학기 수여자에서 2학년 이상과 편입학생까지 포함시켰다.

이러한 도입에도 중도 탈락학생 수는 개선효과는 미비해 지역 대학들의 보다 내실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학 관계자는 “장학금 확대·상담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신입생, 재학생들의 학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