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대상… 도입 1년
대전·충남 일자리 증가효과 미미
낮은 구축수준 탓… 지속지원 필요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도입 1년이 지났지만 충청권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은 ‘기대 이하’라는 평가다.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이 높을수록 일자리 증가율도 높아지는데 대전·충남 대부분 기업은 하위단계로 지속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13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상생형 스마트공장’은 중기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부, 삼성전자가 협력해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18년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도입된 사업이다. 충청권에서는 지원 기업 수가 적은 대전지역이 4곳 중 2곳(50%)이 평균 1.5명의 추가 고용이 발생, 1곳은 그대로, 나머지 1곳은 오히려 2명이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제조업이 많은 충남은 37개 지원 기업 중 18개(48.6%) 기업에 평균 11명의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8개 기업의 고용인력은 그대로였으며, 나머지 11개는 평균 5명이 줄었다.

중기중앙회는 이번 데이터 분석 결과 구축수준이 높은 기업들에서 일자리 증가 효과가 크게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소기업에 한정 지원된 간이 자동화 수준인 ‘레벨 C형’으로는 생산력과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전·충남 기업의 일자리 증가율이 미미한 원인 역시 낮은 구축 수준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기업 47개 중 27개(65%)가 하위 단계인 레벨 C로 분류되며 구축 수준이 낮은 편에 속한다. 반면 충북의 경우 한 배관제조업체(충주 소재)가 레벨 A형 구축으로 생산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함으로써 지난해 13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선방했다. 이밖에 세종은 지난해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기업이 없어 평가에서 제외됐다.

이에 전문가들은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 가능한 지원으로 지역기업의 설비를 고도화해 구축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수혜를 받은 기업들의 개별지원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닌 기업 간 연계로 서비스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고도 덧붙인다. 김승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단장은 “현재 스마트공장 사업은 개별단위 기업 지원으로 중앙정부에서 추진되고 있는데 일자리 창출이나 생태계 조성 차원에서 시너지를 내려면 개별 기업이 고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계가 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스마트 공장이 그저 한 개별 기업의 효율화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네트워크 전략과 함께 지속적 지원으로 구축 수준을 높임과 동시에 스마트 첨단화 된 기업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축적해 빅데이터화 할 수 있는 또 다른 물리적 공간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