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충남 부여군이 '2020 올해의 무형유산도시'로 선정된 건 환영할 일이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올해의 무형유산도시로 충청지역 두 곳과 경기도 양주시, 강원도 평창군, 전남 진도군 등 5개 시·군을 선정했다. 문화재청은 오늘 부여군에 이어 내일 대전시와 협약을 맺고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다양한 협력 사업에 나선다. 올해의 무형유산도시는 무형유산원과 지자체가 함께 지역 무형유산의 자생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충청지역 무형유산 활성화에 더 없는 기회다. 부여군은 산유화가, 부여용정리상여소리, 세도두레풍장 등 6개의 무형유산을, 대전시는 웃다리농악 등 20여종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렇게 지정된 문화유산은 그나마 대중에 알려져 있지만 지정되지 않은 무형유산도 많다. 지정 무형유산은 더 홍보하고, 지정되지 않은 무형유산은 적극 발굴해 빛을 보게 해야 한다. 무형유산의 목록화, 기록화가 급선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무형유산을 잘 전승하면 세계 문화유산으로 우뚝 설 수 있다. 무형유산이야말로 지역문화의 밑거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복지문제 등 처한 환경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수할 후계자가 없어 맥이 끊길 위기에 처한 종목도 있다고 한다. 수십, 수백년을 이어온 소중한 문화자산이 사장되는 일은 없어야한다. 무형유산도시 선정을 계기로 효과적인 육성계획을 세워야겠다.

무형유산 보유자와 보유단체의 자산이 면면히 이어질 수 있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 발굴, 지정에 이어 시민과의 소통기회를 넓히는 작업이 긴요하다. 지역축제 등과 연계한 무형유산 공연을 통해 대중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 문화유산은 지역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계승, 발전시켜야 할 책임이 후손들에 있다. 올해 무형유산도시로 지정됐다고 해서 올 한해 반짝하고 끝나는 이벤트가 돼선 곤란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