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이슈-특구 은퇴과학자 전문성 활용
지역 벤처 등 기술지원 필요성
접점 마련… 협력관계 형성 가능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특구 은퇴과학자의 고도의 전문성을 지역 스타트업·벤처·중소기업 등의 기술 지원이나 장기투자가 절실한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한 산업 현장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싱크탱크로써의 역할 지원과 함께 생애 전주기 활용체계를 구축해 이들이 ‘인생 2막’을 준비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줘야 한다는 것이다.

12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박사급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평균 은퇴연령은 57세다.

이는 주요 선진국의 65세 수준 대비 매우 낮은 수치다.

베이비부머 은퇴가 맞물려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단절 및 부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효율적 활용과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앞서 현행 ‘고경력 과학기술인력 지원사업’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에 대한 당위성이 가장 높았고 △지역발전 사업 △전문경력인사초빙 사업 △중소기업 자문 등 순이었다.

실제 2018년 대전테크노파크가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9개 분야 274개사가 ‘기술지원’을 희망하고 있다.

이에 최근부터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애로기술과 경영 전반에 대한 자문을 지원할 다양한 과학기술 협동조합이 설립되고 있는 상황이다.

출연연 퇴직을 한달 반가량 앞둔 한 연구자는 “2년 간의 임금피크제가 끝나면 25개 출연연 은퇴자들을 기업과 연결해 주는 매칭사업을 추진하려 한다”며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날 수 있는 접점을 마련한다면 얼마든지 협력관계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 활용 필요성이 가장 높은 중소기업 R&D 지원사업의 경우 그 수요가 매년 500명 수준이지만 사실상 지원규모는 32% 수준인 연 160명에 불과하다.

특히 한일 수출규제에 따른 중소기업의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R&D 지원은 중·장기적으로 시급한 현안으로 꼽히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오는 2030년 기준 과학기술인력의 공급은 수요 대비 40% 가량 미달돼 공급절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중 절반 가까이는 경력 과학기술인력의 활용도 제고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직에 비해 연구 성과를 도출해내야 한다는 부담이 적고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은퇴 과학자들은 인력개발, 기업지원, 정책제안 등 다양한 파트에서 활용될 수 있는 최선책”이라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