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업체와 협회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이 최근 몇 년 사이 폭증하면서 관련 피해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 부실한 교육이나 쓸모없는 자격증 남발로 피해를 본 경우다.

9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민간자격등록현황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민간자격등록은 15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5년 1만 4519건, 2016년 1만 9542건, 2017년 2만 5013건, 2018년 30462건, 지난해 3만7258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사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공식 홈페이지 캡쳐
사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공식 홈페이지 캡쳐

반면 국가가 관리하는 공인전문자격의 경우 2015년 101종에서 지난해 97종으로 줄었다.

민간자격증은 돈이 되고 학벌과 학점, 어학연수 등과 함께 대표적인 취업 스펙으로 꼽혀 구직자가 현혹되기 쉽다는 이유에서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대부분의 민간자격증은 관심과 소비 트렌드와 함께한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특정 분야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면 관련 민간기관이 생겨나고 기관마다 비슷한 자격증을 이름만 바꿔 경쟁적으로 내놓으면서 자격증 개수가 늘어나는 구조다.

필라테스, 아동심리, 미술심리치료, 바리스타 등 트렌드에 맞춘 자격증이 등장하며 한 분야에서만 수백 개의 자격증이 생겨날 정도다.

비슷한 업체가 늘어나 경쟁이 심해지자 수강료 무료, 자격증 발급비 유료 시스템도 보편화됐다.

발급비용도 천차만별인데, 적게는 8만원에서 많게는 300만원까지 교육내용과 과정에 따라 달라진다.

문제는 자격증의 무분별한 남발로 전문성이 떨어지는 강사들을 일반인을 교육하다보니 소비자 피해만 눈덩이처럼 쌓여가고 있다.

직장인 A씨(28·여)는 “이제 막 자격증을 딴 강사에게 1:1과정으로 필라테스를 배웠는데 오히려 체형이 더 틀어졌다”고 하소연했다.

이렇듯 등록만 하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는 자격증이 3만종이 넘지만 이를 규제할 마땅한 방법도 없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관계자는 “현행법상 민간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는 단체의 기준은 국민의 생명·건강 및 국방에 직결되는 분야에 해당되지 않고 신청인의 결격사유만 없다면 누구나 등록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선정화 기자 sj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