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기술·인적 인프라 갖췄지만 연결 네트워크·기업 부족
4차 산업혁명 대비 맞춤형 기업 지원·산업정책 숙제로 남아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국가연구개발 100조원 시대를 맞이하면서 ‘과학도시 대전’에도 혁신적인 생태계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덕연구단지 중심의 연구개발에만 머무는 것이 아닌 4차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맞춤형 기업 지원과 산업 정책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우선 대덕특구가 위치한 국내과학기술 전초지 대전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전망은 일단 희망적이다. 미래먹거리를 창출한 신기술도 있고, 석·박사 이상급의 인적 인프라도 충분하다.

그러나 문제는 개발된 가상기술을 연결할 네트워크와 디지털생태계 속 경쟁력 있는 기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지역 스타트업을 비롯한 중소·중견기업의 정책은 결국 시대 흐름에 따른 디지털 전환에 맞춰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디지털 혁신생태계란 기존 산업생태계가 디지털 환경 기반으로 전환되며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디지털 전환을 이끌 빅데이터, AI, IOT 등의 기술개발에 주력했다면, 이제는 해당 기술들이 실제 산업에 어떻게 적용될 지가 숙제로 남았다.

제조업 환경은 제품 생산의 전 과정이 무선통신으로 연결돼 자동으로 이뤄지는 공장을 의미하는 ‘스마트팩토리’로 급변했으며, 오프라인 영역이었던 운송·숙박·배송업은 이미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디지털 경제로 녹아들었다.

따라서 국가 R&D 예산의 대부분이 소요되는 과학도시 대전에도 이 같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기반을 고도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스마트팩토리 공급 기업들이 서로 연계되지 않고 고립되면 생태계 전환이 아닌 그저 한 기업의 효율화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연구단지라는 물리적 교류 이상의 가상화된 교류가 더욱 활성화 돼야 한다.

물론 최근 대전에서 선정된 ‘바이오 메디컬 규제자유특구’처럼 물리적 규제 프리존을 설정해 하나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지역이 지속적인 혁신성장을 꾀하려면 전문화된 플랫폼 활용으로 가상의 기술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만 한다.

김승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단장은 “대전이 혁신성장을 이루려면 기술개발 뿐 만 아니라 산업 전체를 디지털 경제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거대 R&D예산 투입으로 신기술을 개발하더라도 결국 기술이 적용될 산업이 디지털 혁신생태계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