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식 맥키스컴퍼니 사장

희망찬 새해다. 묵은해를 반성과 함께 훌훌 떨쳐 보내고 새해의 마음가짐을 다져본다. 많은 기관과 기업, 단체들이 지난해를 되돌아보고 새해의 목표와 희망을 사자성어에 담곤 한다.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 지난 한 해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응축해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우리가 이를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시사점을 던진다는 점에서 언론의 인용도가 가장 높은 것 같다.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공명조는 한 몸에 머리가 두 개인 상상의 새다. 머리 하나는 낮에, 다른 하나는 밤에 활동한다. 하나가 낮에 맛있는 열매를 먹자 이를 시기한 다른 하나가 밤에 독이 든 먹이를 먹어 다 죽게 된다는 전설이다. 운명공동체인 줄 모르고 하나만 없어지면 나는 더 잘 살 것이라고 믿는 어리석음을 이야기한 것이다. 임계점에 이른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경고한 셈이다.

사실 우리 사회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만은 아니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 대부분은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이 풍부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최근까지 OECD 국가 중 사회통합지수가 변함없이 최하위 수준이다.

우리가 사회갈등으로 치르는 비용이 연간 수백조 원에 이른다는 연구 보고서는 이미 10년 전쯤 나온 추산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사회갈등 수준이 OECD 평균 수준으로만 개선돼도 2016~2020년 실질 GDP가 0.2% 추가 상승할 것이란 분석을 내놓기도 했었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18년 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념(87%), 빈부(82%), 노사(76%), 세대(64%), 종교(59%), 남녀(52%) 순으로 사회갈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조사 결과와 갈등순위가 똑같지만, 남녀갈등은 5%나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공명조(共命鳥)의 전설처럼 '운명공동체'라는 각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갈등은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을 키워야 그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신뢰는 상호이해에서 나온다. 나와 다름을 틀림이 아닌 차이로 받아들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가짐이다.

개인적으로 올해의 사자성어로 '심심상인(心心相印)'을 골라본 까닭이다. 묵묵한 가운데서도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한다는 뜻이다. 지역사회와 운명을 함께 할 수밖에 없는 향토기업의 CEO로서 지역사회와 더 크게 상통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우리는 CSV(공유가치 창출) 경영으로 향토기업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회사의 역량을 쏟고 있다. 2006년부터 조성한 계족산 황톳길을 시작으로 끊임없이 CSV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우리가 판매한 제품을 구매해주는 지역 소비자들에게 기쁨을 주며 살겠다는 존중과 배려의 마음이었다. 건강과 문화에는 이념도, 빈부도, 노사도, 세대도, 남녀 구분이 필요 없다. '함께'의 가치가 있을 뿐이다. CSV 콘텐츠는 철저히 사회적 자본을 쌓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배려, 마음을 움직이는 힘’(한상복)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배려는 만기가 정해지지 않은 저축과도 같다.

한푼 두푼 모으다 보면 언젠가는 큰 뭉치가 되어서 돌아온다." 우리는 지역사회 운명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오늘도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