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5일 치러지는 제21대 총선이 10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본격적인 총선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지난달 17일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자 많은 출마예정자들이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표밭을 누비고 있다. 시내 주요 건물의 외벽엔 출마예정자들의 얼굴을 알리는 대형 플레카드가 내걸려 총선일이 다가왔음을 알리고 있다. 기자회견을 열어 출마를 공식화하거나, 출판기념회를 개최해 세를 과시하는 출마예정자도 부쩍 늘었다.

21대 총선은 역대 총선과 확연히 구분되는 점이 있다. 헌정사상 첫 대통령 파면 이후 치르는 총선이다. 여기에 연동형비례대표제라는 이제까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선거 룰이 적용된다. 선거제의 변화는 다당제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이미 원내 진출을 노리는 정치결사체들의 정당설립이 줄을 잇고 있다. 연동형 비례제 도입에 따른 비례정당에도 관심이 쏠린다. 무엇보다 임기 반환점을 돌아선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와 오는 2022년 3월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진보와 보수의 세대결장이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열성 지지층들의 격렬한 대립구도는 이념 양극화를 심화시킬 게 뻔하다. 축제 속에서 치러져야 할 총선이 외려 국론분열을 부추겨선 안 될 일이다. 내 편만 있고, 네 편은 배제한 정치는 국민화합을 이끌어낼 수 없다. 이는 국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의 정치복귀 선언이 정치권의 새 변수로 떠올랐다. 안철수 효과가 예전만 못하다는 시각과 파급력이 살아있다는 시각이 공존한다. 안 전의원의 정계복귀가 야권 발 정계개편의 시발점이 될지 주목된다.

충청권 유권자들이 총선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가 관심사다. 역대 선거를 보건대 충청권은 특정 정당에 표를 몰아주지 않는 성향이 있다. 대전지역 선거구의 경우 20대 총선에선 신도심은 민주당이, 원도심은 한국당이 우위를 점했다. 21대 총선에서 수성과 탈환을 놓고 치열한 접전이 예상된다. 무능국회, 식물국회는 유권자들로 하여금 정치무관심을 넘어 정치혐오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치혁신을 해야 하는 까닭이며 그래서 유권자들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