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15총선부터 선거연령이 '만18세 이상'으로 낮춰짐에 따라 고교 3학년 일부 학생들도 첫 투표를 할 수 있게 됐다. 정치권은 선거연령 하향을 싸고 20여년이나 논란을 빚어 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만 선거연령이 '만19세'로 묶여 있었다. 그 이유로 우리나라 청소년만 유독 정치의식이 낮거나 판단능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수긍할 수도 없다.

일부 고교 3학년생이 내년 총선에 첫 유권자로 편입됨에 따라 정치권은 물론 교원단체, 학부모 단체를 중심으로 기대와 우려의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만18세 투표권은 '거스를 수없는 세계적 대세'인데다 청소년의 '참정권 확대'를 기대하는 찬성론에 맞서 '고교 교실의 정치화'에 대한 비판론도 거세다. 내년 총선에서 첫 새내기 투표권자는 2002년 4월 16일 이전 출생자부터다. 통계상 53만 2000여 명 수준이다. 이 가운데는 일부 고교 3년생도 포함된다. 정확한 실태는 곧 나온다. 어제 날짜로 지역 시·도교육청이 고3학생 투표인원 전수조사에 들어갔다고 한다.

문제는 일선 고교에 선거관련 예시 매뉴얼이 없다보니 혼선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그러잖아도 수시로 '가짜뉴스에 의한 편향된 정치의식 교육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터여서 교육계의 대응책에 주목한다. 향후 교사 개인중심의 정치성향에 근거한 선거 교육이 이뤄지면 학생 투표권 행사에 편향 논란이 더 커질 수 있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헌법적인 가치다. 선거관리위원회와 교육부 차원에서 이를 감안한 매뉴얼이 나와야 할 차례다. 젊은 유권자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민주시민으로 키워내는 건 참으로 중요하다.

내년 총선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여야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그래서다. 정당이 무의식적으로 청년을 회피한다는 건 자신의 정치역량에 스스로 족쇄를 채우는 것이나 다름없다. 젊은층 사이에서 '꼰대 정치인'이니 '노땅 정당'이니 하는 이유는 뭔가. 유권자가 젊은 피로 충원되면 정치는 더욱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돼 있다. 여야 각 정당이 청년공약에 공을 들이고 젊은 인재 영입에도 종전보다는 더욱 주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