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른 빈집문제는 농촌지역의 일로 치부된 적이 있다. 그런데 도심지역에도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빈집이 6000가구에 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전세종연구원이 밝힌 '대전시 빈집정비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에 의하면 8월 현재 가스·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빈집은 모두 5842가구로 집계됐다. 무주택자가 있는가 하면 방치된 집도 수두룩하다. 빈집의 약 90%는 파손이 없는 집이라고 한다. 즉 사람이 거주할 수 있다는 얘기다.

빈집은 원도심 지역에 집중적으로 포진해 있다. 동구지역에 가장 많은 2286가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중구 1140가구, 대덕구 864가구 순이다. 소유주가 잠시 집을 비워둔 경우라면 괜찮겠으나 오랜 기간 비워둔 집은 여러 문제점을 낳는다. 가장 먼저 미관 저해를 꼽을 수 있다. 빈집은 주변 주거환경을 훼손해 마을의 쇠퇴를 부추긴다. 장기간 관리하지 않은 빈집은 붕괴 등으로 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각종 범죄 장소로 악용될 소지도 있다.

빈집 정비를 활성화해야 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대전지역 빈집 중 철거를 요하는 빈집은 전체 빈집의 약 3%에 불과하다고 하니 대다수 빈집은 쓰임새가 있다고 하겠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과제가 남는다. 사용가능한 집은 무주택자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알선했으면 한다. 도시 주택난 해소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빈집을 헐어낸 뒤 마을 텃밭이나 공공주차장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중구는 이런 방법으로 48개 빈집을 정리해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도시의 빈집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구감소로 지방소멸까지 거론되는 마당이고 보면 빈집은 갈수록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빈집 숫자 파악을 계기로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겠다. 빈집 방치 원인이 뭔지 알아내는 게 그 출발점이다. 주택 소유자에게 빈집을 관리할 책무를 정하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