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등 특구 출범 후 6개월, 내년 상반기 천안·아산 등 추가 지정
특구 간 지원 분산 우려도… 진흥재단, 구체적 상생방안 내달 발표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전국적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개발특구의 신모델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가 6개월간의 준비를 마치고 혁신 창출을 본격화 한다.

다만 기존 특구간의 지원 분산 우려를 일축시키기 위해선 구체적인 상생 방안과 지원기관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진흥재단)의 시스템 개선이 요구된다.

26일 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올해 첫 출범한 강소특구 지정 지역(충북 청주, 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에 대한 지원 계획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특구진흥재단은 강소특구 출범 이후 지난 6월 강소특구지원본부를 신설해 하위조직으로 ‘강소특구지원팀’과 ‘강소특구기획팀’으로 구분해 조직을 개편했고, 올해는 사업 구상에 집중해 왔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강소특구 지정에 대해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에서는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기 보다 지원 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미 대전 외에 광주, 대구, 부산, 전북에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돼 있는 상황에서 오는 2022년까지 전국 곳곳에 강소특구를 총 10곳 이상 추가 지정할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천안·아산 등 7개 지자체가 추가 지정 심사를 받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 상반기 선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특구진흥재단 강소특구본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본부 신설 이후 그간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연계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에 주력했고, 내달 말 대외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일단 내년 강소특구 지원사업에 예산 358억원이 편성됐는데, 특구진흥재단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선제 특구진흥재단 강소특구지원본부장은 “현재 지역별 유망기술 발굴 중에 있으며, 기존 연구개발특구 플랫폼을 활용해 추진체계를 만드는 과정에 있다”며 “대덕특구 출범 초기와 비슷한 현상이지만 강소특구지정 지역들이 특구 지정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아직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당장 지정되자마자 개별기업들에 엄청난 혜택이 주어지기는 어렵다”며 “장기적으로 생태계가 조성돼 선순환 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현재 초기 작업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곧 내년 사업계획이 최종 확정되는데 기존 특구와의 구체적인 시너지 창출방안을 설명하겠다”고 답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