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단행된 경찰고위직 인사에서 충청출신 치안정감이 배출되지 않아 충청출신 홀대론이 제기되고 있다. 영·호남 편중 인사를 고수하고 있는 탓이다. 치안정감은 차기 경찰청장(치안총감)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계급이라는 점에서 지역 안배의 주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후속인사인 총경 승진에서도 타 시·도에 비해 밀리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팽배해지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지난해 이전까지만해도 2007년 개청 이래 11년째 총경을 단 한명도 배출하지 못한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지난해서야 개청 이래 처음으로 3명의 총경 승진자를 배출했으나 올해는 장담하기 힘들다. 최근 3년간 총경 승진자를 지역별로 구분해보면, 충청권 경찰 인사 홀대현상을 실감할 수 있다. 이 기간 중 영남지역이 4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호남 22명이었다. 반면 대전·충남·충북은 모두 14명에 그쳤다. 인구수와 치안수요를 감안, 적정 규모의 인사를 시행하고 있는지 의문이 나오는 이유다.

예컨대 충남경찰청의 경우 최근 3년간 3명 총경이 배출돼 홀대론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는 치안 수준이 비슷한 전북이 같은 기간 모두 8명의 총경을 배출한 것과 비교해보더라도 납득하기 어렵다. 올해 충남에서 총경 승진 대상자는 12명으로 이 가운데 적어도 3명은 승진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승진하지 못하면 계급정년에 따라 조기 퇴직하는 수밖에 없다. 위로 올라갈수록 사다리 구조다. 경무관 이상 경찰 고위직은 전체의 0.1%도 못 미친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진다. 인사적체 해소를 위해서라도 승진을 못하면 나가야하는 구조다.

충청경찰의 홀대 현상은 올해 국감에서도 주요 이슈가 된 바 있다. 경찰 고위직 64%이상이 영·호남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엊그제 단행된 경찰 고위직 인사에서 치안정감의 출신지역을 보면 서울 1명, 영남 3명, 호남 2명으로 구성됐다. 고위직으로부터 총경급에 이르기까지 특정 지역 편중 인사가 이뤄진다면 해당 경찰의 사기와 사명감에도 찬물을 끼얹는 격이다. 공정과 정의 그리고 평등의 가치를 중시한다면 인사에서부터 수긍할 수 있는 결과를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