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4·15총선이 115일 앞으로 다가왔다. 2022년 3·9 차기대선의 향방을 가를 전초전답게 여야 간 사활을 건 선거전이 예고돼 있다. 선거법 개정안 등을 둘러싼 여야 극한 대립 가운데서도 각 정당마다 인적쇄신, 즉 인재영입 및 공천기준 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정치불신의 반작용으로 '새 인물론'이 대체로 힘을 얻는 반면, 경륜 있는 정치력 확보 수단으로서의 '중진의원 역할론'도 병존하고 있다. 각 정당의 총선전략과 직결된 화두다.

여기에서 전국단위 선거 때마다 충청민의를 대변해줄만한 정치적인 무게감과 역량을 가진 인물의 부상을 고대해왔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충청대망론'에 대한 지역민의 기대는 현재진행형이다. 충청표심이 전국 표심을 좌우하는 '캐스팅보트' 역할을 톡톡해 해내면서 나타난 정치의식이다. 지난 대선 때 여권에서 안희정 전 충남지사, 야권에선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각각 기대감을 모았으나 끝까지 완주하지는 못했다.

그 이후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의 장벽을 넘어 지역을 대표할만한 정치인에 대한 갈망은 더욱 깊어가고 있다. 20대 총선에서는 충청권 전체 의석 27석 가운데 보수정당 대 진보정당 간에 14대 13(무소속 1석 포함)으로 양분된 바 있다. 충청표심은 어느 정당이 지역이익을 대변하느냐에 따라 예민하게 움직여왔다. 충청표심의 '실리적인 투표성향'을 잘 간파한다면, 지역의제를 추려내 정당공약화로 수렴하는 한편, 지역정서에 맞는 대표인물 발굴·활용에 나서게 돼 있다.

역량 있는 정치인이 힘을 받을 것인지 초미 관심사다. 또 하나 2014년 지방선거 때부터 충청권 유권자가 호남을 앞서기 시작한 이래 충청 정치력을 거기에 걸맞게 육성하고 있느냐는 점이다. 두 측면에서 우선 다선 의원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여권에선 박병석·이상민, 야당에선 정진석·홍문표 등을 들 수 있다. 대선 잠룡급으로 이완구 전 국무총리·이인제 전 의원 등이 거론된다. 과연 이들이 충청선거 역할론의 적임자로 역사의 부름을 받을 것인가. 우선 당내 정치 역학구도상 설득력 있는 인물인가라는 관문, 특히 인물·이슈·정책·비전 차원에서 지역민 공감을 사는 인물인가라는 기준이 키 포인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