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갈수록 늙어가면서 1인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가구형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9년 후엔 전국 모든 시·도에서 1인가구가 대세가 되면서 2047년이면 1인가구 중 60세 이상 비중이 57%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의 '시도별 장래가구 특별추계(2017~2047년)'에서다. 대전의 경우 올해 1인가구는 33%로 2047년엔 40%를 넘어설 전망이다. 시·도별 2047년 전망을 보면 강원(41.9%)에 이어 충북(41.8%)·대전(41.7%)·충남(40.6%) 등 충청권이 그 다음으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가구형태의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는 세계 최악의 저출산·고령화 여파 속에서 비롯되고 있다. 작년부터 합계출산율이 1명 이하로 떨어졌다. 비혼과 만혼 등으로 아예 아이를 낳지 않는 인구가 늘어나고, 기대수명도 크게 늘면서 우리나라가 2045년에는 세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 장성한 자녀가 부모와 따로 떨어져 사는 비중이 크게 늘고 있다. 부부가구가 늘어나긴 하지만 특히 1인가구가 두드러진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2017년 2.48명에서 2047년 2.03명으로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대전(1.99명)을 비롯해 9개 시·도의 평균 가구원 수는 2명 아래도 떨어진다. 반면 가구원 수가 가장 많은 시·도는 세종(2.28명)으로 지목됐다.

결국 가구형태의 변화에 따른 우리 사회 구조의 변혁이 필연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1인가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라이프 스타일도 종전과는 사뭇 다른 양태를 보인다. 주거, 고용, 문화, 복지, 교육 등 전방위적인 대응책이 절실해진다. 그러잖아도 전국 곳곳이 '인구소멸 위기'에 몰리면서 지역공동체가 붕괴 위기에 처했다. 저출산·고령화 대책과 함께 수도권 규제 등 지방소멸을 막는 정책도 절실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에게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종합패키지를 만들라"고 지시한 것도 그래서 일 것이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경제적으로도 양극화의 늪에 빠진 1인가구의 소외현상을 그대로 방치할 일이 아니다. 지역 맞춤형 대응책이 뒤따라 나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