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수평적 시너지 창출 통해
디테일한 계획·공통비전 수립 후
부처간 이해관계 발생할 경우
범부처 지원 활용하자는 의견

<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9> 대덕특구 재창조사업 '범부처' 협력 추진의 당위성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재창조사업은 장기적으로 ‘범부처’가 협력 추진해 국가 혁신성장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다만 각 정부부처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지역 차원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되고, 클러스터 주체의 공통된 비전 수립 이후 제도적 환경을 뒷받침 하는 수준으로 적용돼야 한다.

리노베이션 추진 주체들은 결국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공통된 의견을 제시한다.

대덕특구는 초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범부처 성격으로 조성됐지만 현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리하고 있다.

그간 중앙부처 주도로 운영 관리되는 한계로 생산성 하락과 미흡한 융·복합 혁신에 직면하며 리노베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물론 재창조사업 역시 국가주도의 범부처 협력 사업으로 추진돼야 실현성을 담보할 수 있고,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대한민국 혁신 거점으로써의 대비가 가능하다.

대전시는 이를 위해 국무총리실에 대덕특구 재창조 범부처 TF를 기본구상용역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총 8개 정부부처가 협력해 내년 완공되는 ‘제2판교 테크노밸리’처럼 대덕특구 리노베이션도 혁신창업을 위한 종합 지원을 강조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현 시점의 범부처 협력 논의를 시기상조라고 보며 지금은 내실을 다져야 하는 단계라고 제안한다.

제2판교는 신규부지에 없던 것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 공간인 반면 대덕특구는 기존 연구단지라는 틀 안에서 공간 재배치와 혁신생태계 조성 등 리뉴얼 모델이기 때문에 초기 단계부터 부처 지원을 논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세부 계획이 도출돼 각 부처 간 이해관계가 발생할 때 풀어나갈 수 있는 장치로써 범부처 지원을 제안해도 늦지 않다는 이야기다.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지역 내 산·학·연·관이 상호 수평적 시너지를 창출해 대덕특구의 공통된 비전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네덜란드 라흐닝언 식품산업 클러스터’의 혁신체계를 들 수 있다. 대덕특구가 KAIST 등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과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에도 이를 산업화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지만 이곳은 다르다.

네덜란드 라흐닝언 푸드밸리는 대학·기업·정부가 수평적 위치에서 상호 협력적 관계를 구축해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식품산업 혁신클러스터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는 결국 국가주도의 범정부 지원도 중요하지만 그전에 산·학·연·관의 수평적 거버넌스를 통한 상호작용이 우선돼야 하는 교훈을 준다.

김보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과학기술진흥과 과장은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이 장기적으로 범부처 협력사업이 돼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디테일한 계획이 수립돼야 부처 간 풀어나갈 부분이 드러난다”며 “대덕특구 미래 50년을 바라본다는 관점에서 주체별 입장과 관점이 다른 것은 당연하다. 이를 조정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