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자체의 지역안전지수가 전반적으로 취약하다. 안전지수가 낮다는 건 그만큼 시민의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행정안전부가 그제 공개한 '2019년 지역 안전지수'를 보면 안전지수가 하위권을 맴도는 지자체가 수두룩하다. 대전시의 경우 6개 분야 중 감염병(3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5개 분야 모두 4등급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지수는 통계지표를 바탕으로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염병 등 6개 분야 안전수준을 점수화해 최고 1등급부터 최하 5등급까지 등급을 매긴다.

대전시의 안전지수가 지난해에 비해 별로 나아진 게 없다는 것은 간과할 일이 아니다. 대전시는 지난해에도 교통사고·화재·범죄·자연재해·생활안전 분야에서 4등급을 받았었다. 충남도는 화재·범죄·감염병은 3등급을 받았지만, 교통사고와 생활안전은 4등급을 받았다. 특히 자살 부문은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도 5등급을 받은 바 있어 이 부문에 대한 대책마련이 긴요하다.

세종시는 최고 등급과 최하 등급이 부문별로 엇갈린다. 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은 5등급, 자살과 감염병은 2등급, 범죄는 1등급을 받았다. 스마트도시를 표방하는 신도시인 세종시가 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 부문에서 최하등급을 받았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 최저 등급이 고착화되기 전에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 충북도는 교통사고 2등급, 화재·생활안전·자살·감염병은 3등급을 받는 등 비교적 후한 점수를 받았다.

자치구 중 유성구가 범죄·자살·감염병 부문 1등급을 받아 돋보인다. 교통사고·화재·자살 부문 5등급 동구와 대조된다. 유성구의 시책을 벤치마킹해 봄직하다. 안전지수는 자자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고자 2015년부터 매년 공개하고 있다.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야 마땅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낙제점을 받은 지자체는 안전지수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 시민들은 누구나 안전지수가 높은 지역에 살기를 원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