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출연연·기업 등 혁신주체
간극 좁힐 거버넌스 역할 중요
기획부터 구성원 공론화 거쳐야
연구특구기관장협 무게감 커져

<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8> 리노베이션, 대학·출연연 등 혁신주체 공통된 비전 담겨야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재창조사업은 KAIST를 비롯한 대학과 16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자체, 기업 등 다양한 관련 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공통된 비전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단순한 공간 재구성을 넘어 새로운 연구문화를 조성해 융·복합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야만 리노베이션이 성과를 낼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선 대덕특구 구성원들의 간극을 줄이는 거버넌스가 보다 활성화 돼야 한다.

대덕특구 토지 고도화를 위한 하드웨어적 인프라는 이미 조금씩 추진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마무리 돼 가는 대덕테크비즈센터 리뉴얼부터 대덕공동관리아파트 활용, 융합연구혁신센터, 출연연 오픈플랫폼, 테마형 스마트시티 등 재창조 사업의 마중물들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대덕특구가 과학도시 대전의 거점공간에서 글로벌 혁신성장 허브로 거듭날 수 있는 중요한 전환기인 만큼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변화도 더불어 요구된다.

하드웨어식 공간 리뉴얼만큼 중요한 것이 현실적으로 그 안에 담길 콘텐츠다. 산·학·연·관 융합혁신역량을 높이는 것이 리노베이션의 최종 목표라면, 계획 수립 초기단계부터 관련 주체들의 현장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주도 하에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거버넌스 체계가 더욱 활성화 돼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자문위원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전시 △KAIST △충남대 △UST △목원대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이하 연기협) △과학기술출연연구기관협의체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 총연합회 △산업연구원 관계자 11명이 포함돼 있으며, 4차 회의까지 진행된 상태다.

실무위원회는 과기부와 대전시 특구재단 실무진들과 기본구상용역을 맡고 있는 국토연구원 관계자 등 6명이 참여하고 있다.

연구단지라는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만큼 기획단계부터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공론화 작업이 이뤄져야 추후 갈등의 소지를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대덕특구의 핵심 주체인 출연연 연구자들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특구 내 진정한 연계·협력·개방 문화를 위해선 기본적으로 ‘기업’ 중심의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춰야만 한다.

이중 연기협은 내년 발족 30주년을 기점으로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에 막중한 역할이 부여되고 있다.

김복철 연기협 회장(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4차산업 등 시대적 변화에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연기협은 출연연 뿐 만 아니라 대전테크노파크 등 대전시 산하기관과 지역 벤처기업들이 회원사로 소속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회원들과 더욱 고민하겠다”며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주체들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