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 집값이 예사롭지 않다. 대전은 연속 집값 상승률 전국 1위를 고수하고 있다. 대전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외지인들의 투자 수요가 몰리는 이른바 '아파트 쇼핑' 지역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는데다 개발호재, 신규분양 효과까지 작용하고 있다. 그 와중에서 대전과 세종 부동산 시장이 서로 가격상승 효과를 부추기는 '핑퐁 효과'도 주목되고 있다.

세종시 집값이 투기지역 규제 등으로 한때 주춤하면서 대전으로 투기수요가 몰렸다. 유성구 중심으로 집값 상승을 부추긴 것이다. 서구, 유성구 등 신도심에서 중구, 동구 등 원도심까지 확산되면서 대전 전체 아파트 평균가격도 치솟고 있다. 일부 공동주택 상승률이 이상 과열을 보이고 청약시장도 덩달아 뜨겁게 달아올랐다. 최근엔 이와 정반대의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전국 지방아파트 값 상승세를 주도하는 대전의 투자수요가 세종시로 옮겨가는 조짐도 포착되고 있어서다.

세종시청 인근 중심으로 최근 두 달 사이 집값 프리미엄이 1억 원을 넘었다. 불과 몇 개월 전 아파트 84㎡의 평균 매매가격이 4억 8000만원 수준이었으나 일부 단지의 경우 6억 원이 넘는 호가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세종시의 부동산 매수세가 다시 이어지면서 매매가격 반등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다만 그 열풍이 부동산 투기과열지구 등 3대 규제에 묶여 있는 세종의 여건을 넘어 설 것인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

투자자들이 대전과 세종을 오가며 집값을 연쇄적으로 올리는 형국이다. 특정 지역 아파트 값이 폭등하면 주변 지역 시세를 상승세로 견인하는 압력이 커진다. 신규 아파트 고분양가를 유도하는 구도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아파트 가격 상승의 악순환 고리부터 끊어야 옳다. 저금리 기조 속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의 부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면서 원정투자를 부추긴다. 집값이 또 다른 집값을 올리다가 결국은 실수요자에게는 엄청난 부담을 몽땅 안겨준다. 급격한 집값 상승세는 국가 전체의 활력을 떨어뜨린다. 지역 맞춤형 부동산 대책이 나와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