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5> 지역사회와 소통 강화로 산·학·연·관 ‘협치’
소통 부재…지역산업 연계 못해
과학산업특보 신설 등 기대감
대전과학산업진흥원 곧 설립
지역주도 협업…시민체감 성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특구가 지역사회와의 전략적 소통·협업 시스템을 마련해 지방분권시대에 걸맞은 체질개선이 요구된다.

그간 중앙 주도식 정책 결정이 이뤄졌다면, 미래 50년은 산·학·연·관 협치에 따른 지역 주도식 프로세스로 전환돼야 한다.

관리부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인 대덕특구는 정부가 바뀔 때마다 달라지는 기조를 중심으로 국책연구가 선행 돼 왔다.

지자체나 여러 산하기관과의 소통 문화에 익숙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고, 이러한 구조로 연구자들 역시 운신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전시 또한 과학도시 수식어가 무색할 만큼 정부출연연구기관간 협력모드에 소극적이었다.

그렇다 보니 대덕특구 내 축적된 응용기술과 지역산업간 연계가 어렵고, 어쩌다 발굴된 협업 과제는 일회성에 그쳐 지속 가능한 먹거리 창출을 담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도 최근 들어 4차산업혁명특별시를 표방하는 지역 곳곳의 다양한 움직임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대전시는 과거와 달리 각 출연연의 연구성과를 지역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공식 채널들을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고, 혁신주체들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지난달 과학산업특보를 신설했다. 내년 설립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형 과학기술 사업 전담기구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역시 같은 맥락이다.

진흥원은 대전시, 출연연, KAIST 등과 ‘공동 거버넌스’를 구축해 지역에 활용될 수 있는 R&D 기획 및 연구를 총괄하는 조직이다.

충남대를 비롯한 지역 대학들도 별도 관련 조직을 설치하는 등 지역 인재 배출을 위한 대덕특구와의 협력 필요성을 체감하는 분위기다.

결국 핵심은 관 주도가 아닌 산·학·연·관 협치로 로컬 생태계가 자생력을 갖춰야만 시민의 정주 여건도 향상 된다는 점이다.

민병권 대전시 과학산업특보는 “현재 지역 혁신주체들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는 중이고, 실무자 워킹그룹을 통해 지역 산업체와 출연연들의 연결고리를 찾는 프로젝트들을 진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이 국가를 선도한다는 관점에서 최근 바이오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라며 “향후 리뉴얼되는 대덕특구는 R&D 뿐만이 아니라 지역의 사회 문화적인 부분도 함께 담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덕특구 내 수많은 연구자들의 지적 욕구가 지역에 확산돼 시민체감형 성과들이 대거 창출될 수 있도록 매개자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