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평 묶은 대덕특구
연구기관간 거리 멀어지며
‘폐쇄적 단지’ 부작용 발생
개방형 코워킹 공간 필요
토지 효율화 방안 마련해야

[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4> 문제는 '공간'에 있다 … 저조한 토지 효율성

 

사진 = 충청투데이 DB
사진 =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특구는 조성 당시 쾌적한 연구 환경을 위해 무려 2000만평의 대전 교외 부지를 묶어 각종 연구기관을 유치했지만, 시대가 바뀌며 이 광활한 공간은 혁신 생태계 구축에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다.

폐쇄적 연구단지라는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혁신주체가 협업할 수 있는 개방형 코워킹 공간을 공급해 R&D 기능에 편중된 대덕특구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대덕특구는 교육·연구 및 사업화 시설구역(각종 연구기관 및 대학 입지)과 녹지구역이 전체 86.0%를 차지한다. 단지 내 입지 기관들의 평균 건폐율과 용적률은 각각 17.5%와 42.7%로 토지 활용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관련 법상 자연녹지지역으로 분류되지만 이곳은 특구법이 적용돼 건폐율 30%, 용적률 150% 이하, 층고 최대 7층 이하로 관리된다. 워낙 부지 자체가 넓기 때문에 여유 있게 시설들이 들어서며 조용하고 쾌적한 연구 환경을 조성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연구기관간 거리가 물리적으로 멀어지며 폐쇄적 단지라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떠안게 됐다.

이미 수십 년간 정착된 기존 연구문화를 해결하기 위해선 용지 활용에 있어도 혁신이 요구된다. 출연연 유휴 부지를 민·관·산·학·연 네트워크 및 협업공간으로 꾸며 다양한 혁신주체들이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융·복합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단계별 코워킹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연구지원 용지(상업 및 근린생활시설) 역시 이곳을 더욱 고립시키고 지역사회와 유리된 단지로 만들고 있다.

대덕특구는 대부분 연구용지로 허용 건축물이 제한적이라 일반시민이 사용가능한 시설이나 공간 활용에 상당히 제약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 및 연구기관들의 스케일업을 위한 새로운 혁신공간과 코워킹 공간 공급을 제안하며, 지자체 차원의 지속적인 산업입지 정책 마련과 관련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승우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지역혁신지원본부 개발관리총괄팀 선임연구원은 “대덕특구의 토지활용 고도화는 땅이 부족해서 용적률, 건폐율을 조정하자는 의미가 아닌 다른 차원의 공간 활성화 문제”라고 답했다. 이어 “면적이 워낙 넓어 판교처럼 서로 쉽게 만나기 어렵고 유연하게 소통,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보니 협력문화가 뿌리내리지 못한 것 같다”며 “향후 리노베이션 사업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