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공공 투자 ‘최고 수준’ 불구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감소세
‘협업문화 조성’… 융복합 시너지
도시 경쟁력 강화 활용 필요성
대전시, 공적투자 등 역할 막중

[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2> 집적된 기술 및 우수한 자원…국내 최고 과학인프라 대전의 도시경쟁력은?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과학도시 대전은 국내 최고의 기술·인력 자원이 포진돼 관련 인프라가 다른 어느 곳보다 우수하지만, 인프라가 지역사회 자본의 유형으로 활용되지 못한 채 도시 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 내 다양한 혁신주체가 융·복합 시너지를 창출하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우선 대전시의 공격적인 공적 투자로 대덕특구의 잠재적 역량을 도출해야 한다.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한 대전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특허, 인력, 기술료, 시설 등 대부분 현황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도시로 분류된다. 과학 자원을 비롯한 R&D 인프라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나 이 같은 경쟁력은 지자체 차원의 지역역량에 의한 결과라기보다 대부분 정부 주도식 지원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대덕특구가 지역사회와 동 떨어진 채 단절 된 ‘섬’으로 인식되고, 그 안에서도 각자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점은 지역 내 생태계 조성이 어려운 원인이 된다.

실제 대전세종연구원 정책연구자료에 따르면 대전은 서울, 경기도와 더불어 대학·공공부문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은 수준(3조 9710억원)을 보이지만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수는 연평균 약 15.1%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특성화 산업에 대한 지역 투자 집중도 역시 전국 평균(0.364)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0.039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대전의 가장 큰 취약점을 ‘혁신 및 협업문화’의 부재로 꼽는다. 대덕특구에 석·박사급 고급 인력들이 대거 포진돼 있음에도 이들 간 소통·공유하는 문화가 조성돼 있지 않다보니 협업과 융·복합 혁신에 한계가 노출되고 있다.

이럴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는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국가연구개발, 즉 국비에 의존하고 있어 수평적인 연대가 이뤄지지 않고, 지역산업과 연계해 시장규모를 확대할 필요성을 체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대전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대학과 연구기관, 지자체가 공통된 비전을 정의·공유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적극적인 공적자금 조달을 통해 시장 창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대전시의 자체 역량과 책임이 수반돼야 한다.

정경석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부산시나 대구시의 경우 대전과 달리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과학진흥기금 비중을 전폭적으로 늘리고 있다. 반면 인프라가 넘쳐나는 대전시는 다른 지역과 스타트 라인 자체가 다름에도 선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두려워하며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금을 통해 대덕특구 활용에 지원을 한다든지, 대학과 출연연 그리고 지자체가 공동으로 참여해 지역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다든지 어떤 방식이건 먼저 대전시의 공격적인 공적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