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주도식 연구개발 시기 비약적 성장·발전 이끌었으나
글로벌 환경…민첩대응 어려워, 개방적 융복합공간 탈바꿈 시급

[리뉴얼 대덕특구, 미래 50년은]
<1>4차산업혁명시대 도래…新대덕연구개발특구, 시대가 부른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올해의 가장 큰 이슈로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발점이 된 ‘한일 경제전쟁’을 꼽을 수 있다. 국내 과학기술계를 비롯한 산업계에 패러다임 변화가 시작됐다. 원천기술 확보에 대한 중요성과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그리고 그에 걸맞은 새로운 성장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급변하는 대외 정세와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국내 과학기술 전초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의 정체성과 활용법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다. R&D메카로 1974년 조성돼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특구는 그간 국가경제 성장을 견인해왔지만 미래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혁신클러스터로써의 한계에 직면해 있다. 총 10편의 기획연재를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의 새로운 혁신공간이 될 대덕특구의 미래 50년을 전망해보고자 한다.

1970년대 경제성장과 산업의 고도화라는 시대의 부름을 받고 조성된 대덕특구에 새로운 혁신과제가 요구되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등 급속한 과학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기존 중앙정부 주도식 투자에서 벗어난 유연하면서도 개방적인 융·복합 혁신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대덕특구는 관련 특별법에 따라 대전 유성구 일대에 지정·고시돼 정부출연연구기관 26개, 정부 및 국공립기관 24개, 기타비영리기관 23개, 대학 7개, 기업 1613개 등 1705개 기관이 입주해 있다. 석사·박사 등 대덕특구 내 전문 인력만 약 6만 7000명이 모여 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인력과 기술력이 집중된 대한민국 대표 연구개발 집적지인 것이다.

당초 연구·학원 도시로서 생산시설이 허용되지 않았으나, 1999년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을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 및 벤처기업 입주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연구·학원도시로서의 초기 패러다임으로 인해 여전히 국가 혁신성장 거점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 1970~1980년대는 정부주도식 연구개발이 국가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연구인력을 충족하며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사업 구조가 급진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며 상황에 걸맞은 민첩한 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 자료(2014년)에 따르면 공공분야 R&D 성과 기업이전 비율은 유럽이 76.0%, 미국 44.7%, 일본 35.3%, 대한민국이 17.6%로 저조한 상태다.

대덕특구는 기초 원천기술 연구개발 중심이지만 대기업이 자체 기업연구소 설립 등 R&D 역량이 강화되며 기술사업화 활성화에 어려운 구조가 됐다.

또 토지이용에 있어 낮은 효율성은 기업 육성 및 창업생태계 조성을 단절시키고 있다. 대덕특구가 위치한 유성구 일대는 조성 당시만 해도 외곽에 위치했으나 현재 급격한 성장으로 시가지화 됐고, 전체 86.0%를 차지하는 교육·연구용지와 녹지구역으로 인해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존 대덕특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패러다임이 적용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관계자는 “46년간 대덕특구가 지녀왔던 공급자 중심과 R&D 중심 단지라는 틀을 깨고 다양한 혁신주체가 융합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단순히 공간 조성만 리모델링하는 것을 넘어 인지적인 변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