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국제관광도시 최종 선정을 앞두고 지자체간 경쟁이 치열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세계 수준의 관광자원과 브랜드를 갖춘 거점도시로 광역시 1곳(국제관광도시)과 기초지방자치단체 4곳(지역관광거점도시)을 선정하기 위해 공모에 들어갔다. 선정기준은 도시의 관광 수용력, 접근성, 관광자원의 경쟁력과 실현가능성 등이다. 기본적인 도시 여건 경쟁력, 발전 가능성을 평가하고 서면심사,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선정하게 된다.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을 선택과 집중 전략에 의해 글로벌 관광도시로 육성하는 정책 목표는 나무랄 데가 없다.

부산, 대구 등 각 도시가 공모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서울 등 일부 지역 중심의 외국인 여행 패턴을 지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지난 10년간 외국인 관광객은 2배 이상 늘었지만 서울 등 특정지역에 편중된 구조다. '국제관광도시' 개념을 '서울·제주를 제외'한 도시로 한정함으로써 이들 도시 이외 도시 간 각축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선정된 도시에는 내년부터 국비 500억원이 지원돼 한 차원 높은 국제관광도시 면모를 다질 수 있다.

다만 지역별 관광 인프라 격차가 심한 형편이어서 오히려 특정지역 밀어주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이나 인천의 경우는 상당 수준의 인프라가 이미 구축돼 있어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서있다. 이에 비해 대전은 그야말로 난감한 처지다. 서면평가기준상 국제공항 및 여객터미널, 4성급 이상 호텔 보유 등의 인프라가 없다.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열세를 만회할만한 내륙도시로서의 성장잠재력을 입증해 보이는 수밖에 없다.

관광수용력, 교통인프라, 관광자원 경쟁력 등 어느 것 하나 차별성 있는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결과다. 지난해 대전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비중은 1.7%로 서울(79.4%), 경기(14.9%), 부산(14.7%), 강원(9.7%), 제주(8.5%)에 비해 게임도 되지 않는다. 주목 받을 만한 콘텐츠 개발 노력이 엿보이지 않는다. 말만 국제화를 외칠 일이 아니다. 서비스 산업 고도화 차원에서 관광의 몫은 지대하다. 하나부터 차분히 지역대표관광의 개념부터 바로 정립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