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지역기업 경영사정이 통계수치로도 확인되고 있다. 경기불황 등으로 경영이 악화되면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없게 돼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올해 9월 까지 대전지방법원(대전·충남관할)에 접수된 법인 도산 신청건수는 49건으로 서울을 제외한 13개 지방법원 중 가장 많은 규모를 기록했다는 보도다. 매달 평균 5개꼴이다. 부도나 폐업 등 도산으로 갈 수밖에 없는 기업의 처지가 딱하기도 하지만 그로 인한 사회적 파장 또한 크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기업의 목적은 수익창출이다. 지나친 부채로 정상영업이 불가능할 경우 법원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회사재산을 정리하고 채무변제 후 회사 파산절차를 두고 있는 것은 사회적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문 닫는 기업건수가 3년 연속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건 '기업하기 환경'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단적으로 방증해준다.

한국은행의 '2018년 기업경영 분석'을 보면, 돈 벌어 이자도 못 갚는 기업이 35.2%이다. 전년(32.3%)보다 2.9%포인트 높다. 지역의 실물경제지표는 더 심각하다. 한국은행의 지난달 기업경기조사 결과 대전·충남 기업들의 자금사정지수는 지난 5년 평균보다도 못 미치는 83이다. 설비투자실행 지수도 지난 5월부터 꾸준히 하락하면서 91을 기록하고 있다. 반도체 주력 산업의 타격이 크다. 지난달 전국적으로는 반도체 수출액이 1년 전보다 32.1% 감소했다.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수출도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으로 각각 22.6%, 26.2% 감소했다. 미중 무역분쟁, 세계경기 둔화 등 대외적인 요인에다 국내 소비, 투자, 고용도 부진한 결과다.

지역기업들이 못 버티고 무너지는 건 저조한 업황 속애서 크게 늘어난 인건비 부담까지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영업이익을 내지 못하면 이자가 밀려 한계기업으로 몰려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은 도산 수순으로 이어진다. 지역기업이 건실하지 못하면 지역 경제력도 위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향토기업이 자꾸 지역을 떠나고 경영난에 허덕이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그대로 보고만 있어야 하나. 모두 심사숙고해야 할 최대 현안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