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우리나라 외식 인기메뉴는 끊임없이 바뀌며 변화무쌍했다.

부활과 변화를 거듭한 수십 개의 외식 트렌드 중 한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메뉴는 4~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해외 음식들이 인기를 끌면서 국내 외식업계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메뉴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2010년부터 10년간 외식 시장의 인기 메뉴와 트렌드를 정리한 ‘외식 메뉴 및 트렌드 변천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제버거.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1년 사이에는 정크푸드 햄버거가 수제버거를 통해 웰빙 대열에 합류하며 외식 메뉴로 주목받았다.

크라제버거는 당시 국내에만 80여 개 매장을 열었고, 롯데리아와 버거킹, 맥도날드 등 기존 패스트푸드 업계도 수제버거 메뉴를 출시했다.

한류 드라마의 인기로 K-푸드 중 막걸리가 유행을 이어갔다. 허름한 전통주점이 아닌 세련되고 트렌디한 분위기의 테라스 테이블에서 유리 주전자에 담긴 막걸리를 즐기는 모습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간단한 한 끼 역할을 톡톡히 하는 컵밥과 밥버거 등도 패스트푸드로 새롭게 떠올랐다.

2012~2013년에는 추억의 간식 고로케가 웰빙 고로케로 탈바꿈해 담백한 맛의 간식으로 인기를 끌었다. 작은 규모의 점포에서 간단한 메뉴를 취급하는 스몰비어는 2013년 여름을 시작으로 창업 시장의 광풍을 일으켰다.

이 무렵 샐러드바 스타일의 샤브샤브 전문점도 등장했으며 다양한 요리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포차주점은 꾸준히 사랑받는 프랜차이즈가 됐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2014년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인 김밥이 고급화 됐다. 보통 한 줄에 2000원 안팎이던 김밥이 좋은 식재료와 돈까스, 튀김 등이 더해지면서 4000~5000원이 넘는 프리미엄 김밥이 탄생했다.

‘설빙’을 필두로 한 빙수 프랜차이즈가 유행하기 시작했고 ‘계절밥상’과 ‘자연별곡’, ‘올반’ 등 한식뷔페 레스토랑 열풍이 불었다.

2015년에는 식재료 어묵이 밀가루 함량을 줄이고 생선살 함량을 높이며 간식, 간편식, 건강식으로 자리 잡았다. 부산의 삼진어묵 등 브랜드가 프리미엄 베이커리 형태로 선보였다.

이디야 커피, 빽다방 등 저가 커피 브랜드가 프리미엄 커피 브랜드와 본격적인 경쟁을 벌이기 시작했다.

반짝 인기를 끌었던 대만 대왕카스테라는 2016년 본격적으로 국내에 등장했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당시 6개월 여 만에 30곳이 넘는 프랜차이즈 본사가 생겨날 만큼 광풍을 몰고 왔지만 한 방송 보도로 인해 매출이 폭락하면서 사라지기도 했다.

2016년 말 대형 유통업체가 들여온 펑리수와 누가크래커도 한때 품귀 현상을 빚을 정도로 유행했다.

길거리 대표 군것질 핫도그는 2017년 전국적으로 프랜차이즈 창업 열풍이 불면서 고급 소시지, 치즈 등 재료와 만나 가성비 높은 간식으로 자리매김했다.

베트남 음식도 인기가 치솟아 현지의 맛을 재현한 쌀국수나 톰얌누들, 바질돼지고기볶음, 분짜, 공심채볶음 등 다양한 메뉴로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2018년은 뉴트로 열풍으로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는 냉동 삼겹살이 다시 외식 테이블을 가득 채웠다. 한식 별미 꼬막도 꼬막 비빔밥으로 재탄생해 히트메뉴로 등극했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올해는 흑당 버블티가 외식 트렌드를 뜨겁게 달궜다. 단순한 재료로 만들어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대만식 샌드위치나, 베트남 반미도 인기를 끌었다.

전 세계적 유행이 된 마라의 매운맛 역시 홍대, 연남동, 가로수길, 이태원 등 2030 밀집 상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진나연 기자 jinny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